소장처 고문서 특징
- 홈
 - 소장 고문서
 - 소장처 고문서 특징
 
註1) 
        
      마을의 서북쪽에는 백양산(白陽山)이 있고, 동쪽의 봉악산(鳳岳山 또는 五峰山)과 서쪽의 곡성산(穀城山)이 그 지맥을 형성하여 좁고 긴 골짜기를 이루어 전형적인 명당 터가 되는 지점에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홈실은 안골[內谷], 담되[濟南], 뒷뫼[陶山], 새뜸[新溪], 배나무골[梨洞] 등 5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홈실은 성씨의 발상지인 벽진면 수촌리와 이웃한 곳으로 시조공의 7세손인 이방화(李芳華) 대에 이곳으로 이주하여 터를 잡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註2) 
        
      이리하여 홈실을 떠난 지 약 200여 년이 지난 후 칠곡에 거주하고 있던 산화파의 맏집과 셋째 집 후손들이 폐허가 된 명곡에 다시 터를 닦고 가문을 일으켜 오늘에 이르고 있다.
    
註3) 
        
      7대조 이희경(李希慶)은 경상도 도원수, 6대조 이수지(李粹之)는 감무를 지냈다. 생육신의 한 사람인 이맹전(李孟專)과는 4촌간이었던 5대조 이권(李惓)은 학행이 뛰어나 대유(大儒)의 기국이 있었고, 1432년 생원시에 입격한 뒤 개녕(開寧)·영유현감(永柔縣監)으로 부임해서는 곳곳에 치적(治績)을 남겼다. 증조 이인손(李麟孫)은 1519년 진사시에 입격한 뒤에는 과거와 출사를 단념하고 공암(孔巖) 위에 정자를 짓고 후진양성에 매진하였는데, 이는 완석정 가문이 학자가문으로서의 근기를 다지는 토대가 되었다.
    
註4) 
        
      비록 그는 벼슬이 공조좌랑에 그쳤지만
      
         
註5) 
        
      그에 의해 다져진 사회적 기반과 학문적 연계망은 아들 이언영이 17세기 초반 영남사림을 대표하는 학자·관료로 성장하는 바탕이 되었다.
    
註6) 
        
      21세 때인 1588년(선조21)에는 회연(檜淵)으로 가서 정구에게 배움을 청한 뒤로는 1620년 정구가 사망하기까지 30여년 동안 수시로 왕래하며 강론·질의하였다.
      
         
註7) 
        
      뿐만 아니라 그는 장현광의 문하에서도 수학하여
      
         
註8) 
        
      크게 추중을 받았고, 장현광 사후에는 사문의 언행록을 짓기도 했다.
    | 
             순번  | 
          
             성명  | 
          
             본관  | 
          
             호  | 
          
             여타사승  | 
          
             여헌언행록  | 
          
             비 고  | 
        
| 
             1  | 
          
             趙任道  | 
          
             咸安  | 
          
             澗松  | 
          
             苟全門人  | 
          
             「就正錄」  | 
          
             「旅門十賢」  | 
        
| 
             2  | 
          
             申悅道  | 
          
             鵝州  | 
          
             懶齋  | 
          
             
  | 
          
             「拜門錄」  | 
          
             「旅門十賢」  | 
        
| 
             3  | 
          
             申 圾  | 
          
             鵝州  | 
          
             
  | 
          
             
  | 
          
             「聞見錄」  | 
          
             申悅道의 子  | 
        
| 
             4  | 
          
             張乃範  | 
          
             仁同  | 
          
             克明堂  | 
          
             寒岡門人  | 
          
             「記聞錄」  | 
          
             張慶遇의 父  | 
        
| 
             5  | 
          
             李彦英  | 
          
             碧珍  | 
          
             浣石亭  | 
          
             來庵·寒岡門人  | 
          
             「記聞錄」  | 
          
             
  | 
        
| 
             6  | 
          
             朴吉應  | 
          
             密陽  | 
          
             眞靜齋  | 
          
             李安訥門人  | 
          
             「記聞錄」  | 
          
             
  | 
        
| 
             7  | 
          
             張慶遇  | 
          
             仁同  | 
          
             晩悔堂  | 
          
             
  | 
          
             「記聞錄」  | 
          
             「旅門十賢」  | 
        
| 
             8  | 
          
             鄭克後  | 
          
             延日  | 
          
             雙峰  | 
          
             寒岡·芝山門人  | 
          
             「記聞錄」  | 
          
             「旅門十賢」  | 
        
| 
             9  | 
          
             金 烋  | 
          
             義城  | 
          
             敬窩  | 
          
             
  | 
          
             「敬慕錄」  | 
          
             盧景任의 사위  | 
        
| 
             10  | 
          
             趙遵道  | 
          
             咸安  | 
          
             方壺  | 
          
             惟一齋·寒岡門人  | 
          
             「言行日錄」  | 
          
             
  | 
        
| 
             11  | 
          
             金慶長  | 
          
             順天  | 
          
             龜巖  | 
          
             
  | 
          
             「景遠錄」  | 
          
             「旅門十賢」  | 
        
| 
             12  | 
          
             崔 轔  | 
          
             永川  | 
          
             梅窩  | 
          
             寒岡門人  | 
          
             「景遠錄」  | 
          
             
  | 
        
| 
             13  | 
          
             李 糸宙  | 
          
             京山  | 
          
             學稼齋  | 
          
             寒岡門人  | 
          
             「景遠錄」  | 
          
             「旅門十哲」  | 
        
| 
             14  | 
          
             張 每  | 
          
             仁同  | 
          
             三優堂  | 
          
             
  | 
          
             「景遠錄」  | 
          
             張慶遇의 子  | 
        
| 
             15  | 
          
             張 澩  | 
          
             仁同  | 
          
             南坡  | 
          
             
  | 
          
             「景遠錄」  | 
          
             張慶遇의 子  | 
        
| 
             16  | 
          
             權 崶  | 
          
             安東  | 
          
             省齋  | 
          
             
  | 
          
             「景遠錄」  | 
          
             「旅門十賢」  | 
        
| 
             17  | 
          
             張應一  | 
          
             仁同  | 
          
             聽天堂  | 
          
             寒岡門人  | 
          
             「趨庭錄」  | 
          
             旅軒의 子  | 
        
註9) 
        
      그러나 내암문인이라고 해서 그 입장과 처지가 같은 것은 아니었다. 내암문인은 크게 ①정인홍과 단선적인 사승을 유지하며 이이첨 등과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던 대북계, ②영창대군 옥사와 관련하여 정온의 입장에 동조했던 중북계, ③일종의 재야파로 인조반정 이후 후손들에 의해 정인홍과의 사승관계를 부정한 계열, ④역시 재야파로서 인조반정 이후에도 정인홍에 대한 사승의식을 유지한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註10) 
        
      
    
註11) 
        
      , 문경호, 정온, 강린(姜繗), 강응황(姜應璜), 강익문, 조응인, 김응성(金應成), 황여일(黃汝一), 정홍서(鄭弘緖), 박문영(朴文楧), 박성(朴惺), 곽준(郭䞭), 문위(文緯), 오장(吳長), 박민(朴敏), 이언영, 허돈(許燉), 성호정(成好正), 강대수 등을 한강·내암 양문을 출입한 인물로 언급한 선행 연구,
      
         
註12) 
        
      손처눌의『모당일기』의 기록
      
         
註13) 
        
      등을 종합할 때, 이언영이 정인홍을 사사 또는 종유했음은 분명한 것 같다. 더욱이 인조반정 이후 정인홍계의 대북파로 몰려 처벌된 박종주(朴宗冑)가 그의 사위라는 점도 이런 추측을 더욱 가능케 한다.
    
註14) 
        
      그 결과 이원익, 정경세(서애문인), 이준(서애문인), 정온(내암·월천·한강문인), 이언영(한강·여헌문인), 최현(한강문인), 조정(학봉·한강문인), 전식(서애·여헌문인), 김영조(서애문인), 이윤우(한강문인), 권도(한강·여헌문인), 김응조(서애·우복·여헌문인) 등이 조용되었는데,
      
         
註15)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이들의 성격이다.
    
註16) 
        
      이로써 정경세와 장현광은 인조조 영남남인의 양대 축을 이루게 되면서 그 문인들의 정치적 진출도 활발해졌던 것이다.
    | 
             순번  | 
          
             성 명  | 
          
             거주  | 
          
             경 력  | 
          
             사 승  | 
          
             비 고  | 
        
| 
             1  | 
          
             張顯光(1554~1637)  | 
          
             인동  | 
          
             유일/찬성  | 
          
             
  | 
          
             
  | 
        
| 
             2  | 
          
             鄭經世(1563~1633)  | 
          
             상주  | 
          
             문과/이판  | 
          
             서애문인  | 
          
             
  | 
        
| 
             3  | 
          
             權 濤(1557~1644)  | 
          
             단성  | 
          
             문과/대사간  | 
          
             한강·여헌문인  | 
          
             
  | 
        
| 
             4  | 
          
             崔 晛(1563~1640)  | 
          
             선산  | 
          
             문과/감사  | 
          
             학봉·한강문인  | 
          
             
  | 
        
| 
             5  | 
          
             全 湜(1563~1642)  | 
          
             상주  | 
          
             문과/대사헌  | 
          
             서애·여헌문인  | 
          
             
  | 
        
| 
             6  | 
          
             金 靈(1567~1650)  | 
          
             선산  | 
          
             문과/참지  | 
          
             한강·여헌문인  | 
          
             
  | 
        
| 
             7  | 
          
             金知復(1568~1635)  | 
          
             상주  | 
          
             문과/장령  | 
          
             서애문인  | 
          
             
  | 
        
| 
             8  | 
          
             李彦英(1568~1639)  | 
          
             성주  | 
          
             문과/승지  | 
          
             한강·여헌문인  | 
          
             
  | 
        
| 
             9  | 
          
             李潤雨(1569~1634)  | 
          
             칠곡  | 
          
             문과/참의  | 
          
             한강문인  | 
          
             檜淵書院 從享  | 
        
| 
             10  | 
          
             李民宬(1570~1629)  | 
          
             의성  | 
          
             문과/부제학  | 
          
             여헌문인  | 
          
             
  | 
        
| 
             11  | 
          
             申達道(1576~1631)  | 
          
             의성  | 
          
             문과/수찬  | 
          
             여헌문인  | 
          
             
  | 
        
| 
             12  | 
          
             金榮祖(1577~1648)  | 
          
             안동  | 
          
             문과/참판  | 
          
             서애·학봉·한강문인  | 
          
             
  | 
        
| 
             13  | 
          
             全以性(1577~1645)  | 
          
             상주  | 
          
             문과/부사  | 
          
             한강·우복문인  | 
          
             
  | 
        
| 
             14  | 
          
             黃 紐(1578~1626)  | 
          
             상주  | 
          
             문과/지평  | 
          
             서애·한강·우복문인  | 
          
             
  | 
        
| 
             15  | 
          
             曺希仁(1578~未詳)  | 
          
             상주  | 
          
             문과/군수  | 
          
             우복문인  | 
          
             
  | 
        
| 
             16  | 
          
             柳 袗(1582~1635)  | 
          
             상주  | 
          
             유일/지평  | 
          
             서애·한강·여헌문인  | 
          
             柳成龍의 3자  | 
        
| 
             17  | 
          
             趙任道(1585~1664)  | 
          
             창녕  | 
          
             유일/좌랑  | 
          
             구전·여헌문인  | 
          
             
  | 
        
| 
             18  | 
          
             洪 鎬(1586~1646)  | 
          
             상주  | 
          
             문과/대간  | 
          
             서애·우복문인  | 
          
             
  | 
        
| 
             19  | 
          
             金應祖(1587~1667)  | 
          
             안동  | 
          
             문과/집의  | 
          
             서애·여헌·우복문인  | 
          
             顯宗朝에 右尹  | 
        
| 
             20  | 
          
             申悅道(1589~1659)  | 
          
             의성  | 
          
             문과/지제교  | 
          
             여헌문인  | 
          
             
  | 
        
| 
             21  | 
          
             金 羾  | 
          
             선산  | 
          
             문과/부제학  | 
          
             서애·여헌문인  | 
          
             
  | 
        
| 
             22  | 
          
             李之華(1588~1666)  | 
          
             대구  | 
          
             문과/한림  | 
          
             한강·여헌문인  | 
          
             
  | 
        
| 
             23  | 
          
             全克恒(1590~1636)  | 
          
             상주  | 
          
             문과/봉교  | 
          
             우복문인  | 
          
             全湜의 아들  | 
        
| 
             24  | 
          
             李景義(1590~1640)  | 
          
             군위  | 
          
             문과/참판  | 
          
             우복문인  | 
          
             李好閔의 조카  | 
        
| 
             25  | 
          
             姜大遂(1591~1658)  | 
          
             합천  | 
          
             문과/대간  | 
          
             한강·여헌문인  | 
          
             
  | 
        
| 
             26  | 
          
             金宗一(1597~1675)  | 
          
             경주  | 
          
             문과/교리  | 
          
             여헌문인  | 
          
             
  | 
        
| 
             27  | 
          
             申弘望(1600~1673)  | 
          
             의성  | 
          
             문과/지평  | 
          
             여헌·구전문인  | 
          
             申之悌의 아들  | 
        
| 
             28  | 
          
             李道長(1603~1644)  | 
          
             칠곡  | 
          
             문과/한림  | 
          
             한강·여헌문인  | 
          
             李潤雨의 아들  | 
        
| 
             29  | 
          
             金廈樑(1605~未詳)  | 
          
             선산  | 
          
             문과/판윤  | 
          
             여헌문인  | 
          
             
  | 
        
| 
             30  | 
          
             盧峻命(1606~1652)  | 
          
             상주  | 
          
             문과/정언  | 
          
             우복문인  | 
          
             盧守愼의 증손  | 
        
| 
             31  | 
          
             康喬年(1607~未詳)  | 
          
             상주  | 
          
             문과/정자  | 
          
             우복문인  | 
          
             
  | 
        
註17) 
        
      를 비롯하여 趙宗岳(영천), 趙宗岱(영천), 張慶遇(인동, 인동의병장), 呂煜(성주), 孫起業(밀양), 鄭好信(영천) 등과 함께 장현광을 보좌하여 근왕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특히, 장현광은 이언영을 직접 발탁하는 등 신임이 매우 두터웠다.
      
         
註18) 
        
      
    
註19) 
        
      것은 당시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혼사라 하겠다.
    
註20) 
        
      인식되기도 했다. 그리고 아들 이담명 역시 숙종조 정국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점했다.
    
    | 
             종류  | 
          
             유형  | 
          
             종/점수  | 
          
             비고  | 
        
| 
             古文書  | 
          
             敎令類  | 
          
             6종 73점  | 
          
             
  | 
        
| 
             疏·箚·啓·狀類  | 
          
             6종 75점  | 
          
             
  | 
        |
| 
             牒·關·通報類  | 
          
             2종 6점  | 
          
             
  | 
        |
| 
             證憑類  | 
          
             7종 22점  | 
          
             
  | 
        |
| 
             明文·文記類  | 
          
             3종 31점  | 
          
             
  | 
        |
| 
             書簡·通告類  | 
          
             4종 181점  | 
          
             
  | 
        |
| 
             置簿·記錄類  | 
          
             8종 21점  | 
          
             
  | 
        |
| 
             詩文類  | 
          
             10종 207점  | 
          
             遺墨書畵 및 기타문서 포함  | 
        |
| 
             합  | 
          
             46종 616점  | 
          
             
  | 
        |
| 
             成冊古文書  | 
          
             
  | 
          
             112책  | 
          
             
  | 
        
| 
             합  | 
          
             112책  | 
          
             
  | 
        |
| 
             古書  | 
          
             經部  | 
          
             1종 1책  | 
          
             
  | 
        
| 
             史部  | 
          
             14종 36책  | 
          
             
  | 
        |
| 
             子部  | 
          
             4종 12책  | 
          
             
  | 
        |
| 
             集部  | 
          
             11종 26책  | 
          
             
  | 
        |
| 
             합  | 
          
             30종 75책  | 
          
             
  | 
        
| 
             종류  | 
          
             유형  | 
          
             수량  | 
          
             비고  | 
        |
| 
             古文書  | 
          
             敎令類  | 
          
             紅牌  | 
          
             1  | 
          
             
  | 
        
| 
             白牌  | 
          
             1  | 
          
             
  | 
        ||
| 
             有旨  | 
          
             2  | 
          
             
  | 
        ||
| 
             告身(敎牌)  | 
          
             24  | 
          
             
  | 
        ||
| 
             告身(敎旨)  | 
          
             43  | 
          
             
  | 
        ||
| 
             祿牌  | 
          
             1  | 
          
             
  | 
        ||
| 
             疏·箚·啓·狀類  | 
          
             上書  | 
          
             24  | 
          
             
  | 
        |
| 
             所志  | 
          
             27  | 
          
             
  | 
        ||
| 
             白活  | 
          
             10  | 
          
             
  | 
        ||
| 
             稟目  | 
          
             2  | 
          
             
  | 
        ||
| 
             圖形  | 
          
             1  | 
          
             
  | 
        ||
| 
             所志類(草)  | 
          
             10  | 
          
             
  | 
        ||
| 
             牒·關·通報類  | 
          
             傳令  | 
          
             5  | 
          
             
  | 
        |
| 
             解由文書  | 
          
             1  | 
          
             
  | 
        ||
| 
             證憑類  | 
          
             立案  | 
          
             3  | 
          
             
  | 
        |
| 
             戶籍類  | 
          
             6  | 
          
             
  | 
        ||
| 
             完文  | 
          
             1  | 
          
             
  | 
        ||
| 
             侤音  | 
          
             2  | 
          
             
  | 
        ||
| 
             手記  | 
          
             6  | 
          
             
  | 
        ||
| 
             完議  | 
          
             3  | 
          
             
  | 
        ||
| 
             證書  | 
          
             2  | 
          
             
  | 
        ||
| 
             明文 ·文記類  | 
          
             分財記  | 
          
             2  | 
          
             
  | 
        |
| 
             繼後明文  | 
          
             1  | 
          
             
  | 
        ||
| 
             明文  | 
          
             28  | 
          
             
  | 
        ||
| 
             書簡·通告類  | 
          
             通文  | 
          
             18  | 
          
             
  | 
        |
| 
             簡札  | 
          
             156  | 
          
             82점만 수록  | 
        ||
| 
             慰狀  | 
          
             3  | 
          
             
  | 
        ||
| 
             婚書  | 
          
             6  | 
          
             
  | 
        ||
| 
             置簿·記錄類  | 
          
             笏記  | 
          
             1  | 
          
             
  | 
        |
| 
             執事記  | 
          
             2  | 
          
             
  | 
        ||
| 
             碧珍李氏世系  | 
          
             1  | 
          
             
  | 
        ||
| 
             詩文類  | 
          
             祭文  | 
          
             52  | 
          
             35점만 수록  | 
        |
| 
             哀辭  | 
          
             1  | 
          
             
  | 
        ||
| 
             誄文  | 
          
             1  | 
          
             
  | 
        ||
| 
             試券  | 
          
             1  | 
          
             
  | 
        ||
| 
             墓文類  | 
          
             5  | 
          
             2점만 수록  | 
        ||
| 
             詩  | 
          
             40  | 
          
             3점만 수록  | 
        ||
| 
             浣亭集考疑  | 
          
             1  | 
          
             
  | 
        ||
| 
             成冊古文書  | 
          
             합  | 
          
             
  | 
          
             112  | 
          
             6점만 수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