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고문서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더보기
1,618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1

    1494년 이애(李璦) 남매 분깃문기 / 1494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494년이애(李璦)를 비롯한 아홉 남매가 아버지 이맹현(李孟賢)과 어머니 윤씨(尹氏)가 소유했던 679명의 종을 합의하여 나누어 가졌다. 장남이 다른 남매보다 20여명 많은 97명을 받은 반면에 나머지 남매들은 70〜78명을 받아 대체로 골고루 나누어 가졌다. 이 종...
  • 2

    1494년 이애(李璦) 남매 분깃문기 / 1494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494년이애(李璦)를 비롯한 아홉 남매가 아버지 이맹현(李孟賢)과 어머니 윤씨(尹氏)가 소유했던 종을 합의하여 나누어 가졌다. 6월 27일에 1차 분배가 이루어졌고, 한 달 여 후인 8월 5일에 그 나머지 종들을 나누었다. 이 문서는 두 번째 분배 현황을 기록한 상속...
  • 3

    1515년 이애(李璦) 무과 홍패(武科紅牌) / 1515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15년(중종10)이애(李璦)가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하고 나라로부터 내려 받은 합격증이다. 붉은 종이에 써서 내려주었기 때문에 홍패(紅牌)라고 한다. 36세 때의 일이다.
  • 4

    1525년 백원정(白元貞) 처(妻) 김씨(金氏) 별급문기(別給文記) / 1525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25년(중종20)고 유학(幼學) 백원정(白元貞)의 처 김씨가 외손자 이수억(李壽億)에게 사내종 1명을 상속하는 문서이다. 일찍이 과부가 된 김씨는 외동딸을 어렵게 길러 이애(李璦)에게 시집을 보내었다. 시집이라고는 하나 당시에는 사위가 처가에 들어와 살던 시기였다....
  • 5

    1532년 이순응(李舜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3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32년(중종27)이순응(李舜應)이 동서 김아무개로부터 논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김아무개는 처가로부터 상속받은 논이 집에서 너무 멀어 경작하기가 어렵자 자신이 살고 있는 상주(尙州)인근의 논을 사고자 판 것이다. 이 시기는 혼인 후 처가에 들어가 살던 혼...
  • 6

    1536년 이판관(李判官)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36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36년(중종31)이(李) 판관(判官)이 김숙한(金淑漢)으로부터 논밭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계약서이다. 김숙한은 장모로부터 상속받은 이 땅이 사는 곳으로부터 멀어 경작하기가 어려웠다. 해서 이번에 팔기로 결정한 것이다. 통상 전통시대의 전답거래는 농한기인 겨울에 이루어...
  • 7

    1543년 이애(李璦) 별급문기(別給文記) / 154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43년(중종38)이애(李璦)가 맏아들 이은보(李殷輔)에게 장자로서 담당해야할 제사 밑천 재산을 특별히 상속한 문서이다. 본시 풍증(風症)이 있어 걷기가 힘들었던 64세의 노인 이애는 이때 다시 중풍에 걸려 전신을 가누기가 힘들어졌다. 이에 올해 24살이 된 맏아들에...
  • 8

    1543년 이애(李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4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43년(중종38) 울진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이애(李璦)가 김숙한(金淑漢)으로부터 논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영천(榮川)에 사는 김숙한은 처가로부터 상속받은 잉량화원(仍良火員)의 논이 집에서 너무 멀어 경작하기가 힘든 까닭에 팔기로 한 것이다. 영해부(寧...
  • 9

    1545년 이은보(李殷輔) 처(妻) 이씨(李氏) 남매(男妹) 노비분깃문기(奴婢分衿文記) / 1545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45년(인종1)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가 사망한 부모의 재산 가운데 남녀종을 친정의 언니, 여동생, 남동생과 함께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전날인 1월 26일에는 전답을 나누고 이날은 종을 분할함으로써 상속을 마무리한 것이다. 총 68명의 종을 각기 16명씩 나...
  • 10

    1545년 이은보(李殷輔) 처(妻) 이씨(李氏) 남매(男妹) 전민분깃문기(田民分衿文記) / 1545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45년(인종1)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가 사망한 부모의 재산 가운데 전답을 친정의 언니, 여동생, 남동생과 함께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서문에 뜻하지 않게 별세하셨다는 말이 보이고 셋째 딸은 아직 미혼으로 기록되었다. 막내아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씨가 후처...
  • 11

    1552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5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52년(명종7)이은보(李殷輔)가 신효(申孝)의 어머니로부터 밭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사당곡원(舍堂谷員)에 있는 옛집의 텃밭 5마지기와 구월(九月)로부터 산 밭 3마지기를 면포(綿布) 225필(疋)을 주고 샀다. 거래 계약서에는 어머니를 대신하여 아들 신...
  • 12

    1552년 황윤관(黃允寬) 별급문기(別給文記) / 155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52년(명종7) 성주목사(星州牧使)황윤관(黃允寬)이 첩에게서 낳은 아들 숙원(叔元)에게 따로 재산을 상속한 문서이다. 숙원은 첩자 가운데서도 막내아들이라 이전에 있었던 상속에서 다른 형제자매들에 비해 재산을 적게 받았다. 게다가 병이 있어 장가도 보내지 못하였으니 ...
  • 13

    1559년 이애(李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59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59년(명종14) 첨지(僉知)이애(李璦)가 전정랑(前正郞)박전(朴全)처 주씨(朱氏)로부터 전답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박전은 이때 죄를 지어 의금부(義禁府)에서 옥고를 치르고 있었다. 가족들과 도망을 치던 중에 체포되었기 때문에 그 사이 가산은 모두 탕진...
  • 14

    1559년 이애(李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59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59년(명종14) 첨지(僉知)이애(李璦)가 전정랑(前正郞)박전(朴全)처 주씨(朱氏)로부터 전답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동일한 문서가 이애후손가에 한 장 더 전한다. 같은 날짜에 작성된 동일한 거래 계약서이다. 단지 증인과 문서작성자만 차이가 날 뿐이다. ...
  • 15

    1560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6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60년(명종15)이은보(李殷輔)가 이응성(李應星)으로부터 논을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이응성은 두 해에 걸친 흉년으로 곡식이 부족해지자 전답을 팔기에 이른 것이다. 논 4마지기를 면포(綿布) 12필에 팔기로 합의하고, 실제 논값으로는 벼 10섬과 면포 2필...
  • 16

    1570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0년(선조3)이은보(李殷輔)가 밭주인 진군령(秦群岭)으로부터 텃밭 20마지기를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진군령의 장인은 첩 예금(礼今)을 데리고 살면서 환곡(還穀)을 많이 받아쓰고는 갚지 않았다. 헌데 제사지낼 밑천으로 상속받은 밭은 또 다른 첩과 그 아들...
  • 17

    1571년 박순수(朴舜壽)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1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1년(선조4)밭주인 박순수(朴舜壽)가 진군령(秦群岭)으로부터 산 밭 한 마지기 반을 다시 파는 토지거래계약서이다. 이 밭이 너무 협소하여 경작하기 힘들자 팔아버린 것이다. 고급 면포(綿布)인 회봉목(回俸木) 2필(疋)과 보통 베 11필을 밭값으로 받았다. 문서가 ...
  • 18

    1572년 이은보(李殷輔) 동복(同腹) 노비(奴婢) 화회문기(和會文記) / 157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2년(선조5)이은보(李殷輔:1520〜1580)의 형제자매들이 부모 사후에 그 재산 가운데 종을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토지를 상속한 문서가 같은 해 2월 15일에 작성되었으므로 본 문서는 그에 앞서 만들어졌을 것이다. 토지 상속문서는 상속원칙 등을 기록한 서문...
  • 19

    1572년 이은보(李殷輔) 동복(同腹) 전답(田畓) 화회문기(和會文記) / 157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2년(선조5)이은보(李殷輔:1520〜1580)의 형제자매들이 부모 사후에 그 전답을 나누어 가진 상속문서이다. 이와 짝을 이루는 것으로 보이는 노비(奴婢) 상속문서도 함께 전해진다. 비록 이 문서는 앞부분이 떨어져 나가 작성연월일 기록을 확인할 수는 없으나 내용으...
  • 20

    1572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2년(선조5)이은보(李殷輔)가 조카 황빈(黃蘋)으로부터 제사몫으로 논 7마지기를 넘겨받은 문서이다. 서울에 사는 황빈은 외조부모의 제사 때마다 멀리 경상도(慶尙道) 영해(寧海)까지 내려올 수 없으니 외삼촌에게 이 제사를 부탁드린다는 의미에서 논을 바친 것이다. 이...
  • 21

    1572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2년(선조5)이은보(李殷輔)가 매부인 채계흥(蔡繼興)을 대리한 그 아들 채증광(蔡增光)으로부터 영해(寧海)의 전답을 산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서울에 사는 채계흥네는 영해와 같이 먼 곳의 전답을 경작하기 힘드니 아들을 시켜 이 땅을 팔고 가까운 경기지역의 땅을 사고...
  • 22

    1572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2년(선조5)이은보(李殷輔)가 조카인 황빈(黃蘋)으로부터 그 어머니가 친정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영해(寧海)의 전답을 사들인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실상 상속은 7일전인 2월 15일에 있었다. 돌아가신 부모님의 재산을 나누어 가지고자 형제자매들이 모두 모이기로 하였으나...
  • 23

    1572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2년(선조5)이은보(李殷輔)가 매부 통선랑(通善郞)채계흥(蔡繼興)을 대리한조카 채증광(蔡增光)으로부터 영해(寧海)와 진보(眞寶)의 밭을 사들인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이 밭들은 모두 8일전인 2월 15일에 상속받은 땅이다. 이은보의 형제자매들은 돌아가신 부모의 재산...
  • 24

    1574년 이은보(李殷輔) 동복(同腹) 화회문기(和會文記) / 1574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4년(선조7)이은보(李殷輔)의 형제자매들이 함께 모여 돌아가신 부모의 재산 가운데 이미 상속하고 남은 것을 추가로 합의 분할한 문서이다. 이미 2년 전인 1572년에 대부분의 재산을 분할하였고, 이번에는 종들 가운데 미처 파악하지 못하였던 자들만을 나누어 가졌다....
  • 25

    1578년 이광영(李光榮)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8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8년(선조11)유학(幼學) 이광영(李光榮)이 기관(記官)김철주(金鐵柱)로부터 논 12마지기를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영해부의 행정실무자인 그는 빈한한 형편으로 인해 환곡(還穀)을 여러 번 빌리고 아직 갚지 못한데다가 이번에 부모상마저 당하여 상을 치를 비...
  • 26

    1579년 이광영(李光榮) 부처(夫妻) 별급문기(別給文記) / 1579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9년(선조12)이은보(李殷輔)와 그 처 이씨가 아들 이광영(李光榮)에게 전답과 노비(奴婢)를 특별히 내려주고 또 다른 재산의 처분방침을 명해둔 상속문서이다. 이해 60세가 된 이은보(1520〜1580)는 눈이 어두워지자 아들에게 자신의 제사몫 재산과 장자몫 외 특...
  • 27

    1579년 이은보(李殷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79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79년(선조12)이은보(李殷輔)가 고(故) 권예형(權禮亨)의 첩으로부터 말곡원(末谷員)의 논 5마지기를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가난한 과부이다 보니 생계가 어려워 논을 판 것이다. 면포(綿布) 45필로 값을 정하였으니, 한 마지기가 9필에 해당한다. 값을 ...
  • 28

    1580년 노주(奴主) 권양(權良) 초사(招辭) / 158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0년(선조13)학생(學生) 권양(權良)이 사내종을 판 사실을 진술하여 예천군(醴泉郡)에 올린 문서이다. 그는 한 달 여 전인 11월 15일에 영해(寧海)에 사는 고(故) 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에게 사내종 1명을 팔았다. 이를 산 이씨는 곧 권양이 살고 있는 예...
  • 29

    1580년 이은보(李殷輔) 동복(同腹) 화회문기(和會文記) / 158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0년(선조13)이은보(李殷輔)의 형제자매들이 돌아가신 부모의 재산 가운데 추가로 발견된 노비(奴婢)만을 다시 합의 분할한 상속문서이다. 전체 상속은 8년 전인 1572년에 있었고, 이때에는 노비뿐만 아니라 전답도 나누어 가졌다. 그리고 2년 후인 1574년에 이미...
  • 30

    1580년 이은보(李殷輔) 처(妻) 이씨(李氏)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 158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0년(선조13)고(故) 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가 권양(權良)으로부터 사내종 1명을 사고 받은 거래 계약서이다. 권양은 소송비용을 대기위해 장모로부터 상속받은 이 종을 팔고 면포(綿布) 42필을 받기로 하였다. 다만 실제 지불은 소, 피륙, 의복, 곡식 등 여러...
  • 31

    1580년 이은보(李殷輔) 처(妻) 이씨(李氏) 사급입안(斜給立案) / 158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0년(선조13) 예천군(醴泉郡)에서 영해(寧海)에 사는 고(故) 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에게 내려준 공증문서이다. 공증한 내용은 한 달 여 전인 11월 15일에 권양(權良)으로부터 사내종 한 명을 산 것을 확인해 준 것이다. 이씨는 이 종을 사자마자 곧 권양이 ...
  • 32

    1580년 필집(筆執) 권신(權信) 등 초사(招辭) / 158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0년(선조13)권신(權信)등이 자신들이 증인과 문서작성자로 참여한 노비거래에 대해 진술하여 예천군(醴泉郡)에 올린 문서이다. 권신은 한 달 여 전인 11월 15일에 동생 권양(權良)이 영해(寧海)에 사는 고(故) 이은보(李殷輔)의 처 이씨에게 사내종 한 명을 팔 ...
  • 33

    1582년 이함(李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8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2년(선조15)유치공(兪致公)이 가난으로 영해(寧海) 효자문원(孝子門員)의 밭 7마지기를 이함(李涵)에게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봄에 빌려 쓴 환곡(還穀)을 갚지 못하여 처가로부터 상속받은 이 밭을 팔기에 이른 것이다. 밭값은 면포...
  • 34

    1583년 이함(李涵) 결송입안(決訟立案) / 158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3년(선조16) 의성현(義城縣)에서 이함(李涵)에게 내려준 소송 판결문이다. 이함(1554〜1632)은 아버지 이은보(李殷輔)(1520〜1580)의 전처 김씨가 시집올 때 친정으로부터 받은 종들을 외사촌 김사원(金士元)(1539〜1601)이 마음대로 부리고 있으니...
  • 35

    1584년 이함(李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84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4년(선조17)이함(李涵)이 오촌조카인 이시중(李時中)으로부터 그의 집 앞의 밭 4마지기를 사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이시중은 비록 다른 전답을 사기 위해 이 밭을 팔아야 할 사정이었으나 가까운 친척이자 집안의 주인인 종손에게 이를 팔았다. 이함은 이시중의 ...
  • 36

    1584년 이함(李涵) 호노(戶奴) 말똥(唜同) 소지(所志) / 1584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3년(선조16)생원(生員) 이함(李涵)의 호노(戶奴) 말똥(唜同)이 영해부(寧海府)에 올린 민원문서이다. 호노는 조선시대 양반가에서 소유 노비(奴婢) 가운데 글을 알고 사리에 밝은 자를 골라 집안 대소사를 맡기던 종을 말한다. 가노(家奴)라고도 하는데 호(戶) 혹...
  • 37

    1588년 이은보(李殷輔)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 1588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8년(선조21)이은보(李殷輔)가 누이의 아들 예수담(芮壽聃)으로부터 영해에 사는 계집종을 2명을 넘겨받은 노비거래 계약서이다. 거래된 계집종 춘대(春代)가 갑자(甲子:1564)년에 태어났고 이해에 25세가 되었다는 본문 기록을 통해, 당해가 1588년임을 계산할 ...
  • 38

    1588년 이함(李涵) 생원 백패(生員白牌) / 1588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8년(선조)이함(李涵)(1554〜1632)이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여 국왕으로부터 내려 받은 증서이다. 이와 같이 생원시나 진사시에 입격(入格)한 자에게 내려주는 증서를 백패(白牌)라고 한다. 3등(等) 44인(人)으로 합격하였으니 선발인원 1...
  • 39

    1588년 이함(李涵) 시권(試券)-대론수기지도(對論修己之道) / 1588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88년(선조21)이함(李涵)이 생원시(生員試)에 응시하여 제출한 과거시험 답안지이다. 생원시는 경전에 대한 지식을 시험문제로 다루었으므로 본 답안지도 그에 대해 논하고 있다. 생원시는 지방에서 치루는 1차 시험인 초시(初試)와 그 합격자들이 서울로...
  • 40

    1590년 이함(李涵) 노(奴) 연복(連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90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0년(선조23)이생원댁(李生員宅)사내종 연복(連福)이 상전을 대신하여 김학수(金鶴壽)로부터 밭을 사들이고 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김학수는 집에서 멀리 있는 이 밭 30마지기를 경작하기가 너무 힘들어 묵히다 보니 나무가 자라 숲을 이룰 지경이었다. 때문에 밭과 ...
  • 41

    1591년 사노(私奴) 돈손(頓孫)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91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1년(선조24)사내종 돈손(頓孫)이 악자원(惡字員)에 있는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문서의 훼손이 심하여 산 사람을 확인할 수 없으나, 이 문서가 영해(寧海) 인량리(仁良里)재령이씨가(載寧李氏家)에서 전해지는 것이니 당시 이씨가의 주인인 이함(李...
  • 42

    1592년 이함(李涵) 동복(同腹) 화회문기(和會文記) / 1592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2년(선조25)이함(李涵)등 5남매가 함께 모여 돌아가신 부모님이 생전에 미처 상속하지 못한 재산을 나누어 가진 문서이다. 이 상속량만 종 64명과 밭 406.1마지기, 논 197마지기에 달하니, 그 부모 이은보(李殷輔:1520〜1580)와 후처 이씨의 재산이 상...
  • 43

    1593년 강응이(姜應伊), 만석(萬石) 초사(招辭)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정병(正兵) 강응이(姜應伊)와 사내종 만석(萬石)이 영해부(寧海府)에 올린 사실 진술서이다. 인동(仁同)에 사는 유학(幼學) 황훈(黃勳)이 영해에 사는 사내종 고미(古未)에게 노비(奴婢)를 팔 때 참석하였는지를 묻는 영해부의 사실조사가 있었기에 이에...
  • 44

    1593년 노주(奴主) 이희강(李希强) 초사(招辭)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유학(幼學) 이희강(李希强)이 영해부(寧海府)에 올린 거래사실 진술서이다. 본디 선산(善山)에 살던 그는 왜란으로 영해로 피난을 와, 생계를 위해 이 고을에 사는 부자 재령이씨(載寧李氏) 이함(李涵)에게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사내종 한 명을 팔았다....
  • 45

    1593년 비주(婢主) 고(故) 김몽득(金夢得) 첩(妾) 초사(招辭)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고(故) 김몽득(金夢得)의 첩이 영해부(寧海府)에 제출한 노비(奴婢) 거래 사실 진술서이다. 그녀는 지난 5월 초7일에 영해에 사는 조광의(趙光義)라는 자에게 계집종 한 명을 팔았다. 그로부터 한 달을 훌쩍 넘긴 이때에 이르러 조광의는 이에 대한 공...
  • 46

    1593년 비주(婢主) 김종효(金宗孝) 초사(招辭)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 충무위(忠義衛)김종효(金宗孝)가 영해부(寧海府)에 올린 거래 사실 확인서이다. 그는 하루 전인 6월 초1일에 나이어린 고아 질녀 아지(阿只)를 대신하여 계집종 한 명을 팔았는데, 이를 산 생원(生員) 이함(李涵)이 이에 대한 관의 공증을 요청하였기...
  • 47

    1593년 사노(私奴) 고미(古未)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 영해(寧海)에 사는 사내종 고미(古未)가 인동(仁同)에 살던 유학(幼學) 황훈(黃勳)으로부터 종 3명을 사고 받은 거래 계약서이다. 문서의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여 대부분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문서에 이어 붙여져 있는 파는 이와 증인...
  • 48

    1593년 사노(私奴) 고미(古未) 사급입안(斜給立案)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 영해부(寧海府)에서 사내종 고미(古未)에게 내려준 노비(奴婢) 매입(買入) 사실 공증문서이다. 고미는 얼마 전 본디 인동(仁同)에 살다가 왜란을 피해 영해로 피난 온 황훈(黃勳)이라는 자로부터 노비 3명을 사고, 곧장 관할 지방관아에 이에 대한 공...
  • 49

    1593년 이비(李埤) 초사(招辭)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 인동(仁同)에 살던 충의위(忠義衛)이비(李埤)가 상속받은 계집종을 영해(寧海)에 사는 생원(生員) 이함(李涵)에게 판 사실에 대해 진술하여 영해부(寧海府)에 올린 문서이다. 이 계집종을 산 이함이 매매사실에 대한 공증을 청하는 민원을 영해부에 제기...
  • 50

    1593년 이함(李涵)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 1593 / 33책 /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 이애 종가
    1593년(선조26)외삼촌 충의위(忠義衛)김종효(金宗孝)가 나이어린 질녀 아지(阿只)를 대신하여 생원(生員) 이함(李涵)에게 계집종 한 명을 팔면서 작성해준 노비(奴婢) 거래 계약서이다. 아지는 김종효누이의 딸로 복중에 있을 무렵 이미 그 아비를 여의었고, 또 태어난 ...
ㆍ페이지 이동: / 33 go
1 2 3 4 5 6 7 8 9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