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 홈
- 고문서를 남긴 사람들
- 주요인물
-
김기서는 평소 효행이 남달랐으며, 특히 喪中에 죽만 먹었으며 3년간의 여묘살이도 독실히 행하였다. 당시 그가 여묘살이 하던 마을이 시묘동이라고 일컬어 질 정도로 향리의 모범이 되었다. 그는 효행으로 光陵參奉에 천거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였다.김기서는 靜菴 趙光祖(1482-1519)의 문인으로 學圃 梁彭孫과(1488-1545) 학문을 논하였다. 그의 처남이기도 한 양팽손이 1519년(중종 15)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능성으로 낙향하자 그도 고창에 은거하며 후학을 육성하였다. 당시 그의 강학처가 돈목재이다.고창의 광산김씨가는 김기서에 의해 효행을 실천의 근본으로 강조하였으며, 학문적 기틀도 이 당시에 마련되었다. 김기서에 의해 확립된 가문의 기반은 그의 아들 蘆溪 金景熹를 거쳐 확충되고, 손자 白谷 金弘宇에 의해 확장되었다.
-
조선 중기 유학자. 자는 용회(用晦)이고, 호는 노계(蘆溪)이며,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
병산서원(屛山書院)의 전신 풍악서당도 당시 이같은 지역문화의 배경하에 설립되었으며, 여기서 주도적 역활을 한 사람이 유성룡이었다. 유성룡 사후 1613년 그를 모시기 위한 존덕사(尊德祠)가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사림에 의해 서당내에 건립되면서 부터이다. 당시는 비록 사액을 받지 못했으나 서원으로 승격되어 풍산지방 뿐만 아니라 안동의 대표적 사학(私學)으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묘호(廟號)를 존덕사(尊德祠)라 한것은 도산서원의 상덕사(尙德祠), 려강서원(廬江書院)의 존도사(尊道祠)를 염두에 둔 작명(作名)이었다고 여겨지며 이 지방에서의 유성룡의 위치를 가늠케 한다.
-
김홍우의 아들 金汝聲(1564-1637)은 沙溪 金長生(1548~1631)의 문인으로 정묘호란당시 소모유사로 의병진에 참여하였다. 특히 美村 金南式(1617∼1683)은 조선후기 절의를 지킨 인사로 명망이 높아 광산김씨가의 가격을 크게 일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