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 고문서를 남긴 사람들
  • 주요인물
  • 柳格과 柳根 당대는 유씨가의 黨色의 분기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시기였다. 원래 柳氏家 선대 인물 가운데는 乙巳士禍에 被禍된 柳仁淑․柳希齡이 대표적 사림파였으며, 이들의 행적은 그 후손들에게 칭송, 전수되었다. 이같은 유씨가의 성향은 혼인 및 사우 관계로 드러나며, 그 결과 선조 대 이후에는 東人, 인종반정 이후에는 南人의 길을 걷게 된 것으로 보인다.
  • 유시회는 1595년(선조 28) 進士 2등으로 합격하였으며, 음서로 龍川․順安府使 등 11개 고을의 수령을 지냈다. 또 당시 그가 衛聖功臣(原從) 1등에 책봉됨으로써 사회적 위상이 크게 격상되었다. 그는 가정적으로도 輪回奉祀의 관행을 없애고 四代 忌祭를 혼자서 享祀하는 유교적 관행을 정착시켰다. 그는 안산이 아니라 주 거주지 서울의 京邸였다. 이곳은 현재 남대문 밖 藥田峴이라고 한다.
  • 1613년(광해군 5)에 진사에 入格하고 1625년(인조 3)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 이후 중소 관직을 거쳐 최종으로 강원도 감사를 지냈다. 사후 그의 墓表는 龍柱 趙絅이 지었고, 神道碑銘은 眉叟 許穆이 썼다. 그는 南人으로서 유씨가의 정치적 성격을 굳힌 인물이기도 하다. 그 계기는 金尙憲과의 갈등 때문이었다. 그는 인조 16년 선조의 아들 珙의 장례에 관한 일로 奔喪하지 않은 金尙憲의 죄를 極論하는 이른 바 ‘戊寅之啓’를 올렸다. 이 때문에 당시 當路者였던 서인측과 첨예한 대립의 축을 형성하였다. 그의 이러한 정치적 입지는 통혼 관계로 이어져 그의 사위 閔聖淸(여흥인), 吳竣(同福人, 吳挺斗․挺相․挺漢의 아버지) 등도 이러한 관계에서 맺어진 것이었다고 보여진다. 親子 命干을 두었으나 일찍 죽고 四寸 潁(1606-1670)의 아들 命天을 그 후사로 삼았는데 그가 또한 俊才였다. 生父 潁은 그 뿐만 아니라 命全(1628-1664), 命堅(1628-1707) 命傳, 命賢 등 아들 5명이 모두 걸출한 인재들이었다.
  • 유명천은 1673년(현종 13) 40세의 나이로 별시 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조․예조․호조판서, 판중추부사 등 내외의 淸宦과 要職을 두루 거쳤다. 柳命全(1628-1664)은 伯父인 宣祖의 駙馬(貞正翁主) 晋安尉 頔(1595-1619)에게 出系하였다. 그는 현종 3년(1662)에 문과에 급제, 승문원 정자를 지냈다. 柳命堅(1628-1707) 또한 문과에 급제, 이조참판을 지냈다. 柳命賢(1643-1704)은 현종 14년에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형인 유명천과 함께 형조 이조 공조판서를 지냈다. 이들 형제 대 이후 유씨가는 近畿의 유력 가문으로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유명천․유명현 당대 유씨가는 泗川睦氏 睦來善 가문, 驪興民氏 閔黯 가문과 더불어 畿湖의 三大 南人家門(濁南)으로 일컬어질 정도였다.
  • 유씨가의 중요 문서는 모산 유원성 당대에 작성된 것으로서 그의 이력에 대해 자세히 알 필요가 있다. 유원성은 아버지 유방, 어머니 고령신씨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에 家學으로 학문을 익힌 뒤 1874년(고종 11) 增廣 會試에 생원으로 入格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그 이후 1900년 明成皇后 山陵都監 郎廳으로 첫 출사를 시작으로 1906년 평안도 价川郡守, 孟山郡守를 지냈다. 1910년 國亡과 더불어 관직을 버리고 안산에 칩거하면서 일제의 회유와 탄압에 굴하지 않았다. 1945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 지조를 지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