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통합검색 / 전체
고문헌해제 : 전체: 에 대해 총110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1

    1책 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편 光山金氏 禮安派宗宅 古文書 崔承熙(서울大 國史學科) 1. 머리말 本書는 光山金氏禮安派宗宅에 전해오는 古文書를 分類·整理한 것이다. 光山金氏는 周知하는 바와 같이 그 本源을 新羅 王姓에 두었고, 고려後期에 名門으로 成長한 姓氏이며,
  • 2

    2책 부안 우반 부안김씨편 技安金氏의 家系와 그 古文書의 特徵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본서는 一九八三년에 본원에서 정서본으로 출간한 바 있는 『부안김씨우반고문서』를 영인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이를 다시 영인본으로 내는 것은 본원에서 『古文書集成
  • 3

    4책 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편 파평윤씨의 고문서 張舜範(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1. 序言 本書는 坡平尹氏 魯城派 明齋宗家에 所藏된 古文書를 分類整理한 것이다. 坡平尹氏는 周知하는 바와 같이 三韓統一에 功을 세운 高麗 太師 尹莘達을 始祖로 하고, 그 후
  • 4

    5책 안동 천전 의성김씨 천상각파편(Ⅰ) 고문서집성 의성김씨 고문서 李廷燮(文化財專門委員) 一. 序言 本書는 義城金氏 川前派 門中에서 傳存되어 온 古文書를 韓國精神文 化研究院에서 調査ㆍ分類 整理하여 古文書集成 第五ㆍ六ㆍ七ㆍ八輯으로 發刊한 것이다. 義城金氏는 新羅敬順
  • 5

    6책 안동 천전 의성김씨 천상각파편(Ⅱ) 고문서집성 의성김씨고문서 李廷燮(文化財專門委員) 一. 序言 本書는 義城金氏 川前派 門中에서 傳存되어 온 古文書를 韓國精神文 化研究院에서 調査ㆍ分類 整理하여 古文書集成 第五ㆍ六ㆍ七ㆍ八輯으로 發刊한 것이다. 義城金氏는 新羅敬順王
  • 6

    7책 안동 천전 의성김씨 천상각파편(Ⅲ) 고문서집성 의성김씨 고문서 李廷燮(文化財專門委員) 一. 序言 本書는 義城金氏 川前派 門中에서 傳存되어 온 古文書를 韓國精神文 化研究院에서 調査ㆍ分類 整理하여 古文書集成 第五ㆍ六ㆍ七ㆍ八輯으로 發刊한 것이다. 義城金氏는 新羅敬順
  • 7

    8책 광주 광주안씨 순암 종가·보령 경주김씨편 廣州安氏, 慶州金氏 古文書 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資料調査室 硏究助敎) 一. 머리말 本書는 京畿道 廣州郡 德谷에 世居하는 廣州安氏 安鼎福(一七一二~一七九一) 家門 및 忠南 保寧郡 川弓의 慶州金氏 鶴州公(金弘郁ˎ 一六○
  • 8

    9책 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편 昌原黃氏 古文書 權五榮(韓國學大學院 博士課程) 1. 머리말 本書는 昌原黃氏門中 가운데 江華·扶餘에 거주하는 黃禮軒의 후손과 榮州에 거주하는 黃智軒의 후손가에 보관되어 온 고문서를 集成하여 간행한 책이다. 이 고문서들은 十四世紀부터 二
  • 9

    10책 장서각편Ⅰ 古文書集成 -藏書閣篇- 張舜範(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一. 序言 本書는 藏書閣所藏圖書中 낱장 본 古文書만을 별도로 分類·整理한 것이다。 이미 아는 바와 같이 藏書閣圖書는 國學振興을 위한 國家施策의 一環으로 一九八一年 七月에 본 硏究院에 移管된
  • 10

    11책 장서각편Ⅱ 古文書集成 -藏書閣篇- 張舜範(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一. 序言 本書는 藏書閣所藏圖書中 낱장 본 古文書만을 별도로 分類·整理한 것이다。 이미 아는 바와 같이 藏書閣圖書는 國學振興을 위한 國家施策의 一環으로 一九八一年 七月에 본 硏究院에 移管된
  • 11

    12책 장서각편Ⅲ 古文書集成 -藏書閣篇-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古文書集成』十二, 十三, 十四권의 자료는 앞서 출간된 같은 책 十一권과 十二권에 이어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에서 보관하고 있는 장서각소장 고문서이다. 十二권과 十三권에 실린
  • 12

    13책 장서각편Ⅳ 古文書集成 -藏書閣篇-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古文書集成』十二, 十三, 十四권의 자료는 앞서 출간된 같은 책 十一권과 十二권에 이어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에서 보관하고 있는 장서각소장 고문서이다. 十二권과 十三권에 실린
  • 13

    14책 장서각편Ⅴ 古文書集成 -藏書閣篇-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본 연구원에서는 藏書閣에서 오랫동안 모아두었던 簡札類를 정리하여 본서로 영인 출판한다. 簡札類는 대부분의 자료가 草書 또는 半草書로 쓰여져 있으므로 자료를 해독하는데 많은 난점이
  • 14

    15책 안동 하회 풍산류씨편(Ⅰ) 하회 풍산유씨의 고문서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안동군 풍천면 하회마을의 豊山柳氏家門의 古文書를 처음으로 조사, 수집한 것은 一九八六년에 자료조사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가문의 고문서자료를 처음으로 섭외 조사
  • 15

    16책 안동 하회 풍산류씨편(Ⅱ) 하회 풍산유씨의 고문서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안동군 풍천면 하회마을의 豊山柳氏家門의 古文書를 처음으로 조사, 수집한 것은 一九八六년에 자료조사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가문의 고문서자료를 처음으로 섭외 조사
  • 16

    17책 안동 하회 풍산류씨편(Ⅲ) 하회 풍산유씨의 고문서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안동군 풍천면 하회마을의 豊山柳氏家門의 古文書를 처음으로 조사, 수집한 것은 一九八六년에 자료조사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가문의 고문서자료를 처음으로 섭외 조사
  • 17

    18책 안동 하회 풍산류씨편(Ⅳ) 하회 풍산유씨의 고문서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안동군 풍천면 하회마을의 豊山柳氏家門의 古文書를 처음으로 조사, 수집한 것은 一九八六년에 자료조사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가문의 고문서자료를 처음으로 섭외 조사
  • 18

    19책 안동 하회 풍산류씨편(Ⅴ) 하회 풍산유씨의 고문서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一. 머리말 안동군 풍천면 하회마을의 豊山柳氏家門의 古文書를 처음으로 조사, 수집한 것은 一九八六년에 자료조사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가문의 고문서자료를 처음으로 섭외 조사
  • 19

    20책 안동 병산서원편 屛山書院 古文書 解題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 Ⅰ. 屛山書院의 建立과 安東士林 屛山書院 設立을 전후한 16세기 말 안동지방의 행정구역은 安東府 本府 외에 8개의 縣과 2개의 部曲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1608년 편찬된 󰡔永嘉誌󰡕
  • 20

    21책 영암 남평문씨편(Ⅰ) 영암 남평문씨의 고문서 鄭求福(本院 歷史硏究室 敎授),安承俊(本院 國學事業 古文書擔當 硏究員) 머리말 靈巖에는 一六세기 중엽 이래로 鳩林大同契, 永保亨洞契를 필두로 한 지역별 조직, 그리고 南平文氏, 居昌愼氏, 全州崔氏, 咸陽朴氏, 密陽
  • 21

    22책 영암 남평문씨편(Ⅱ) 영암 남평문씨의 고문서 鄭求福(本院 歷史硏究室 敎授),安承俊(本院 國學事業 古文書擔當 硏究員) 머리말 靈巖에는 一六세기 중엽 이래로 鳩林大同契, 永保亨洞契를 필두로 한 지역별 조직, 그리고 南平文氏, 居昌愼氏, 全州崔氏, 咸陽朴氏, 密陽
  • 22

    23책 거창 초계정씨 동계 종가편 거창 초계정씨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育倫理硏究室 敎授),安承俊(本院 國學振興硏究事業 古文書擔當 硏究員) I. 居昌 薑川의 草溪鄭氏와 이들의 年代記 本書의 주인공은 慶南 居昌에 世居하고 있는 草樓鄭氏 桐溪 鄭(1569~1641)의
  • 23

    24책 함양 남계서원편 남계서원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育倫理硏究室 敎授),安承俊(本院 國學振興硏究事業 古文書擔當 硏究員),金文澤(韓國學大學院 博士課程) I. 書院의 建立‧運營 一. 書院의 建立 蘫溪書院의 建立은 南冥學派의 対社會活動의 첫 개가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
  • 24

    25책 산청 덕천서원편 덕천서원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育倫理硏究室 敎授),安承俊(本院 國學振興硏究事業 古文書擔當 硏究員),金鶴洙(韓國學大學院 碩士課程 修了) 1. 德川書院과 山天齋의 沿革 1) 德川書院의 沿革 德川書院은 一五七五年(宣祖八) 南冥 曺植(一五○一~一五
  • 25

    26책 거창 거창향교편 거창향교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育倫理硏究室 敎授) 머리말 本 硏究院에서 國學振興硏究事業을 통해 가장 먼저 古文書調査 작업에 착수한 지역이 慶南이었다. 慶南地方에는 書院과 鄕校에 예상보다 많은 자료가 소장되어 있었다. 鄕校의 경우 安義·居昌·
  • 26

    27책 영광 영월신씨편(Ⅰ) 영광 영월신씨의 고문서 安承俊(本院 資料調査室 專門委員) 머리말 全南 靈光郡 靈光邑 立石里 소재 寧越辛氏家 古文書를 처음 조사한 것은 1994년 1월 20일 - 1월 24일 사이였다. 辛氏門中(現宗孫:辛鎬俊)은 본 연구원의 ‘國學振興硏究
  • 27

    28책 영광 영월신씨편(Ⅱ) 영광 영월신씨의 고문서 安承俊(本院 資料調査室 專門委員) 머리말 全南 靈光郡 靈光邑 立石里 소재 寧越辛氏家 古文書를 처음 조사한 것은 1994년 1월 20일 - 1월 24일 사이였다. 辛氏門中(現宗孫:辛鎬俊)은 본 연구원의 ‘國學振興硏究
  • 28

    29책 합천 용연서원편(Ⅰ) 용연서원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授),安承俊(本院 資料調査室 專門委員),金鶴洙(國學事業 調査硏究員) 머 리 말 경남 합천군 용주면 손목리 소재 龍淵書院 古文書를 처음 조사한 것은 1993년이었다. 당시 조사에는 정순우, 허창무, 박병련교
  • 29

    30책 합천 용연서원편(Ⅱ) 용연서원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授),安承俊(本院 資料調査室 專門委員),金鶴洙(國學事業 調査硏究員) 머 리 말 대개 有名家門은 자타가 인정하는 이른 바 「顯祖」가 있다. 顯祖란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통상 科擧를 통해 顯官을 지냈거
  • 30

    31책 합천 합천향교편 합천향교의 고문서 丁淳佑(本院 敎授),安承俊(本院 資料調査室 專門委員),金鶴洙(國學事業 硏究員) Ⅰ. 調査經緯 본원 국학진흥연구사업팀에 의해 합천지역의 고문서를 조사, 수집한 것은 1993년 8월이었다. 당시 조사에는 허창무·정순우·박병련 본
  • 31

    32책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편(Ⅰ) 慶州 良洞의 慶州孫氏家와 그들의 古文書 鄭求福(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安承俊(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전문위원) 慶州市 江東面 良洞 소재 慶州孫氏家의 조사는 一九九四년, 一九九五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자는 필자를
  • 32

    33책 영해 재령이씨 충효당편(Ⅰ) 古文書를 통해 본 寧海 載寧李氏 家門의 社會 經濟的 基盤 鄭求福(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文叔子(韓國學大學院 博士課程 修了) 1. 머리말 載寧李氏 寧海派 宗家(宗孫:李根華)인 忠孝堂 소장 고문서는 그 중 394점이 이미 보물 87
  • 33

    34책 김해 김해향교편 朝鮮朝 金海鄕校와 所藏資料의 性格 丁淳佑(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金文澤(韓國學大學院 博士課程) 1. 머리말 본 연구원에서는 국학진흥사업을 통하여 지금까지 많은 지역의 자료를 조사하고, 나아가 이를 자료집으로 간행하는 사업을 실시하여 왔다.
  • 34

    35책 거제 구조라리편 巨濟島 舊助羅里 古文書와 그 性格 丁淳佑(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授),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一. 머리말 古文書는 인간생활의 구체적 기록이라는 점에서 대단한 의의를 지니지만, 현재까지 발굴, 소개된 것은 양반가문의 문서에 국한되었다고
  • 35

    36책 용인 해주오씨 추탄 종가편 󰡔古文書集成󰡕 36-龍仁 海州吳氏篇- 文叔子(韓國學大學院 博士課程 修了) Ⅰ. 머리말 本書의 주인공인 海州吳氏는 좀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海州吳氏 楸灘公派로서 楸灘 吳允謙(1559-1636)을 派祖로 하는 계열을 가리킨다. 해주오
  • 36

    37책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편(Ⅰ) 求禮 雲鳥樓 文化柳氏家와 그들의 古文書 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Ⅰ. 柳氏家所藏 자료의 출간현황과 硏究史 求禮 五美洞 文化柳氏家 소장 자료는 1960년대 이후 민속사 생활사 경제사 분야를 중심으로 발굴되었고, 현재
  • 37

    38책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편(Ⅱ) 求禮 雲鳥樓 文化柳氏家와 그들의 古文書 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Ⅰ. 柳氏家所藏 자료의 출간현황과 硏究史 求禮 五美洞 文化柳氏家 소장 자료는 1960년대 이후 민속사 생활사 경제사 분야를 중심으로 발굴되었고, 현재
  • 38

    39책 해남 김해김씨편 海南 金海金氏所藏 古文書와 黙軒日記 金文澤(國學振興硏究事業 先任硏究員) 머리말 본서에는 全羅南道 海南郡 山二面 老松里 金海金氏家의 古文書를 수록하였다. 김해김씨가 고문서는 낱장古文書, 成冊古文書 본 글에서 김해김씨고문서를 낱장고문서와 성책고문
  • 39

    41책 안동 주촌 진성이씨 경류정편(Ⅰ) 安東 眞城李氏 周村派의 家系와 社會 經濟的 基盤 文叔子(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Ⅰ. 머리말 安東의 眞城李氏家는 嶺南의 명문가문으로서 조선조 유학의 宗匠인 退溪 李滉을 배출한 가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서의 주인공인
  • 40

    42책 안동 주촌 진성이씨 경류정편(Ⅱ) 安東 眞城李氏 周村派의 家系와 社會 經濟的 基盤 文叔子(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Ⅰ. 머리말 安東의 眞城李氏家는 嶺南의 명문가문으로서 조선조 유학의 宗匠인 退溪 李滉을 배출한 가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서의 주인공인
  • 41

    43책 안동 갈전 순흥안씨편 安東 豊山 葛田의 順興安氏家와 所藏 古文書 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金文澤(韓國精神文化硏究院 先任硏究員) I. 머리말 安東 豊川面의 葛田의 順興安氏家 고문서는 영남대학교 李樹健 교수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굴, 소개되었다. 그 내
  • 42

    44책 안동 수곡 전주류씨 무실 종가편(Ⅰ) 安東 水谷 全州柳氏家의 古文書와 사회 경제적 기반 安承俊(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전문위원),金鶴洙(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원) 1. 머리말 「水柳川金」이란 말이 상징하듯이 水谷(무실) 全州柳氏는 안동지방의 대표적 士族으로서 자타
  • 43

    45책 부여 은산 함양박씨편 扶餘 恩山 咸陽朴氏의 家系와 古文書 安承俊(本院 藏書閣國學팀 전문위원),金鶴洙(本院 藏書閣國學팀 연구원) Ⅰ. 머리말 본서는 함양박씨의 여러 갈래 중에서도 朴世榮(九堂:1480-1552)을 파조로 九堂公派의 종가에 소장된 고문서를 수록한
  • 44

    47책 진주 진양하씨 창주 후손가편(Ⅰ) 古文書를 통해 본 晉州 晉陽河氏 滄洲派의 사회·학문적 지위 朴丙鍊(本院 敎授),金鶴洙(藏書閣國學팀 硏究員) 1. 머리말 晉州 晉陽河氏는 고려 초기 이래로 名官·達士를 배출해 왔으며, 조선시대에도 다수의 鴻儒·碩學을 배출하며
  • 45

    48책 진주 진양하씨 창주 후손가편(Ⅱ) 古文書를 통해 본 晉州 晉陽河氏 滄洲派의 사회·학문적 지위 朴丙鍊(本院 敎授),金鶴洙(藏書閣國學팀 硏究員) 1. 머리말 晉州 晉陽河氏는 고려 초기 이래로 名官·達士를 배출해 왔으며, 조선시대에도 다수의 鴻儒·碩學을 배출하며
  • 46

    49책 안동 법흥 고성이씨 임청각편 法興 固城李氏의 家系와 그들의 古文書 鄭求福(본원 교수);文叔子 1. 머리말 안동지역 양반가에 소장된 고문서는 70년대 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조사 발굴되고 있다. 이들 자료들은 本院에서 발간한 古文書集成 光山金氏(烏川
  • 47

    50책 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편(Ⅰ) 朝鮮後期 慶州의 伊助 崔氏 家門과 龍山書院의 古文書 孫淑景(동아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Ⅰ。머리말 현재 朝鮮後期의 書院 연구는 주로 전국적인 명망과 위세를 가진 賜額書院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물론 이러한 연구 경
  • 48

    51책 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편(Ⅱ) 朝鮮後期 慶州의 伊助 崔氏 家門과 龍山書院의 古文書 孫淑景(동아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Ⅰ.머리말 현재 朝鮮後期의 書院 연구는 주로 전국적인 명망과 위세를 가진 賜額書院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물론 이러한 연구 경
  • 49

    53책 진안 정천 전주이씨 서곡 이정영 후손가편(Ⅰ) 鎭安 程川 全州李氏家(李正英·李象淵系)의 文書와 詩文에 대하여 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朴容萬(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 이씨가 문서는 낱장으로 된 個別 古文書類와 詩文類로 대분된다. 個別 古文書
  • 50

    54책 진안 정천 전주이씨 서곡 이정영 후손가편(Ⅱ) 鎭安 程川 全州李氏家(李正英·李象淵系)의 文書와 詩文에 대하여 安承俊(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朴容萬(韓國精神文化硏究院 專門委員) ★ 이씨가 문서는 낱장으로 된 個別 古文書類와 詩文類로 대분된다. 個別 古文書
ㆍ페이지 이동: / 3 go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