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처 고문서 특징
- 홈
- 소장 고문서
- 소장처 고문서 특징
註1)
오늘날과 가장 차이가 나는 점은 禮安이 안동부에 속해있지 않는 반면 奉化가 안동부내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영남학파의 중심인물이라 할 수 있는 退溪 李滉의 근거지였던 예안은 邑誌인 永嘉誌(1608년 刊)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퇴계 사후 그의 문도들이 소위 영남학파를 형성하고 학문적 공동체를 이루게 되면서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그의 門徒들을 중심으로 先賢奉祀, 子弟敎育, 住民敎化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향촌내에서 이들의 활동은 당시로는 改革的이라 할 만큼 새로운 내용을 담고 있었다. 개혁의 이념적 지향점은 유교의 토착화에 있었으며, 개혁대상은 佛敎, 淫邪를 비롯한 고려적, 토속적 요소를 제거하는 일이었다. 개혁운동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현상은 書院 및 書堂·書齋·精舍 등의 건립운동이었다. 이러한 교육기관들은 불교의 종교적 권위와 교육적 기능을 대신한다는 점에서 매우 실제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註2)
그리하여 이들은 16세기 말을 전후한 무렵에는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명실공히 불교세력을 대신한 새로운 세력으로 탈바꿈하였고, 書院·書堂·精舍·書齋 등은 고려의 寺刹 機能에 대신하는 敎育, 文化空間이자, 士林派를 양산하는 터전으로 변하였던 것이다.
註3)
|
名 稱 |
位置· 配享人物 |
設 立 者 |
設立年代 |
|
廬江書院 (虎溪書院) |
府東 廬山村 白蓮寺舊基 李滉配享,1625年金誠一, 柳成龍 追加 配享 |
退溪門人·地方士林 |
1575(宣祖8) |
|
三溪書院 |
柰城縣 沙峴, 權橃配享 |
地方士林 |
1589(宣祖22) |
|
屛山書院 |
豊山縣, 柳成龍配享 |
柳成龍 門人·地方士林 |
|
|
豊岳書堂 |
豊山縣北 |
西厓 柳成龍 |
1563(明宗18) |
|
陽坡書堂 |
府 東 |
里人 |
|
|
道生書堂 |
臨河縣 本谷里 |
|
|
|
八耦書堂 |
臨河縣 儉巖 |
裵龍吉 |
|
|
龍泉書堂 |
龍井山 東 勿也村 |
|
|
|
伊溪書堂 |
府 北 伊火於村 |
上司 權大器 |
|
|
西澗書堂 |
府 北西 可村 |
參奉 李漢 |
|
|
芝陽書堂 |
府 北 馬岩村 |
縣監 鄭士誠 |
|
|
鏡光書堂 |
府 西 金也村 |
|
1568(宣祖1) |
|
佳野書堂 |
府 東, 佳野南麓 |
生員 金彦璣 壬亂後 進士 權訥 移創 |
|
|
玉屛書齋 |
臨河縣 落淵 |
|
|
|
龍峽書堂 |
臨河縣 羅川村 |
|
|
|
面提書堂 |
一直縣 |
懸人 |
|
|
龜潭書堂 |
一直縣 龜尾村 |
參判 柳景深,牧使 張大輔, 察訪 金守一,進士 李中立, 士人 李種善 |
|
|
鳳山書堂 |
甘泉縣 珍藏洞 |
縣監 李介立 |
|
|
靑城精舍 |
靑城山下 |
松巖 權好文 |
|
|
寒棲精舍 |
安東府西 松坡里 |
一名 松巖(權好文)精舍 |
|
|
石門精舍 |
城山 |
鶴峰 金誠一 |
|
|
謙巖精舍 |
豊山縣 河回 |
謙巖 柳雲龍 |
|
|
遠志精舍 |
豊山縣 河回 |
西厓柳成龍 |
|
|
玉淵精舍 |
豊山縣 河回 |
西厓柳成龍 |
|
註4)
註5)
註6)
비교적 탄탄한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註7)
본 병산서원 소장 고문서는 안동지방에서 처음으로 공개되는 서원 문서이다. 그러나 연구자 개인적으로 도산서원, 역동서원, 호계서원 등을 이용한 연구가 있어 참고가 된다.
註8)
註9)
NO.1 문서에서 주목되는 점은 ‘以上院在豊岳時奴婢’라는 註記 부분이다. 위의 주기는 도망비 1구를 포함한 7구의 노비명단 아래에 附記된 것으로 서원으로 되기 이전 풍악서당 당시 이미 서당노비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풍악서당 당시 왕으로부터 學田을 하사받았다는 기록과 함께 당시 풍악서당의 경제적 규모를 짐작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한편 NO.2 문서는 노비의 친족관계, 나이 등을 고려할 때 작성시기는 병오 - 1666년(顯宗7), 기유년 -1669년(顯宗 10)임을 알 수 있다.
註10)
慶老會案 2에는 柳{氵+奎}(1730~1808) 서문과 함께 甲子(1804), 戊辰(1808), 辛未(1811) 3시기의 慶老會 坐目이 실려있다.
|
文書名 |
番號 |
作成年代 |
發·受給者 |
規格 |
面 數 |
|
院案要覽 |
1 2 3 |
1841(헌종7) 1853(철종4) 1883,1896 |
|
28,3x20 30x21 30,3x21,3 |
53 51 57 |
|
屛山書院記事 |
1 |
1718(숙종45) |
|
31x22 |
12 |
|
上樑文 |
1 |
1771(영조47) |
|
119x62 |
2 |
|
上疏 |
1 2 |
1851(철종2) 1595~1665 |
李啓魯 柳重河 |
31,8x28 27x134 |
5 4 |
|
院任錄 |
1 2 3 4 5 6 7 8 |
1592以前~1640 1592以前~1716 1592以前~1807 1652~1671 1717~1806 1807~1885 1887~1918 1955~1972 |
|
32,6x27 |
13 39 13 45 39 33 40 13 |
|
奉安錄 |
1 |
1610~1614 |
|
39x24,5 |
23 |
|
執事錄 |
1 2 3 4 |
1614~1639 1658~1664 1666~1698 1723~1735 |
|
26,5~29,5
|
64 47 154
|
|
焚香錄 |
1 |
1823~1826 |
|
|
|
|
入院錄 |
1 |
? ~1718 |
|
|
115 |
|
居齋案 |
1 |
1781~1792 |
|
|
26 |
|
講案 |
1 |
1789(정조13) |
|
|
16 |
|
傳與記 |
1 |
丁亥~己丑 |
|
32x21 |
15 |
|
院奴婢(推刷)案1 |
1 2 3 4 5 6 7 |
1663(顯宗4) 1666,1669(顯宗7,10) 1738(英祖14) 1739(英祖15) 1750(영조26) 1756(영조32) 1762(영조38) |
|
|
12 35 30 20 26 25 17 |
|
祭文 |
1 |
1629(인조7) |
鄭經世撰 |
28x25 |
9 |
|
2 |
1629(인조7) |
|
35x25,3 |
9 |
|
|
祭物儀式 |
1 |
1607~1674 |
|
|
9 |
|
祭器 |
1 |
1615~1617 |
|
|
6 |
|
祭需物目 |
1 |
己酉 |
|
|
3 |
|
通報 |
1 |
甲午 |
|
27x24 |
1 |
|
廟內尺量圖 |
1 |
? |
|
|
1 |
|
洞案 |
1 |
1598~1607 |
|
|
5 |
|
慶老會案 |
1 |
1804~1811 |
|
32x29 |
36 |
|
鄕錄 |
1 |
1589(宣祖 22) |
|
40.5x21.8 |
16 |
|
契約 |
1 2 |
1639,1642,1646 ? |
|
46x21,8 |
8 5 |
|
霜臺契帖 |
1 2 3 4 5 6 |
1634(인조12) 1634(인조12) 1674(숙종1) ? 1731(영조7) 1731(영조7) |
|
34,6x21,4 38x21,3 43,5x30 35x21 35x21,7 35x21,6 |
7 6 6 6 4 4 |
|
龍庭對策 |
1 |
? |
|
|
52 |
|
辨誣錄 |
1 2 |
? |
|
30x22,5 31,2x20,5 |
14 30 |
|
各房雜物未收都重記 |
1 |
戊午 |
|
|
12 |
|
齋舍洞完文 |
1 |
壬戌 |
|
|
6 |
|
詩文 |
1 2 |
? ? |
|
36x47
|
3 |
|
望記 |
1 |
1897 |
柳承佑 |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