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고문서
- 홈
-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총 281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1
-
2
-
3
1403년 정전(鄭悛) 조사첩(朝謝牒) / 1403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03년 7월 22일에 임금의 명령으로 통덕랑사간원좌헌납지제교로 임명되는 정전을 조사를 마치고 관문을 보냈기에 고첩을 보낸다는 문서이다. -
4
-
5
1404년 정전(鄭悛) 조사첩(朝謝牒) / 1404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04년 9월 17일에 태종의 명령으로 경상도도관찰출척경력소경력으로 임명되는 정전을 조사를 마치고 관문을 보냈기에 고첩을 보내기에 합당하다는 문서이다. -
6
-
7
1407년 정전(鄭悛) 조사첩(朝謝牒) / 1407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707년 1월 18일에 태종의 명령으로 직예문관으로 임명되는 정전을 조사를 마치고 관문을 보냈기에 고첩을 보내기에 합당하다는 문서이다. -
8
-
9
-
10
1454년 정옥견(鄭玉堅) 조사첩(朝謝牒) / 1454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54년(단종 2)8월 5일에 단종이 정옥견을 장사랑으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임명장이다. -
11
1462년 정종아(鄭從雅) 고신(告身) / 1462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62년(세조 8)12월에 세조가 정종아를 선략장군충좌위섭호군으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문서이다. -
12
1463년 정종아(鄭從雅) 고신(告身) / 1463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63년(세조 9) 3월 25일에 세조가 정종아를 선절장군행충좌위후부섭부사정겸용양위후부장으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문서이다. -
13
1463년 정종아(鄭從雅) 고신(告身) / 1463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63년(세조 9) 7월 6일에 세조가 정종아를 위의장군행의흥위중부섭사용겸용양위후부장으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문서이다. -
14
1468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 1468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68년 10월 6일에 이조가 세조의 명으로 정옥견의 품계를 종9품 장사랑에서 정9품 종사랑으로 올려주었다. -
15
1470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 1470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70년에 5월 3일에 병조에서 성종의 명을 받아 종9품 충찬위종사랑정옥견의 품계를 종7품 분순부위로 올려주었다. -
16
1471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 1471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71년 2월 6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을 받아 충찬위정옥견의 품계를 분순부위에서 적순부위로 올려주었다. -
17
1476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 1476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병조가 1476년 7월 1일에 성종의 명을 받아 동년 9월 14일에 정옥견의 품계를 창신교위로 올려주었다. -
18
1478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 1478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78년 3월 18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에 따라 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창신교위로 올려주었다. -
19
1478년 정종아(鄭從雅) 차첩(差帖) / 1478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78(성종 9)년 1월 26일에 병조에서 김해를 정종아의 반당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
20
1479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 1479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479년 7월 27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을 받아 충찬위충의교위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상계 과의교위로 올려주었다. -
21
-
22
-
23
-
24
-
25
1629년 박군언(朴君彦) 등 함허정계축(涵虛亭契軸) / 1629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김해부사조득화등 7인이 함허정의 연회에서 읊은 시를 첩으로 만든 시첩이다 -
26
-
27
-
28
-
29
1633년 정온(鄭蘊) 고신(告身) / 1633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33(인조 11)년 5월 4일에 인조가 정온을 가선대부 용양위 대호군에 임명하였다. -
30
1633년 정온(鄭蘊) 고신(告身) / 1633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33(인조 11)년 10월 28일에 인조가 정온을 가선대부병조참판겸동□경연사에 임명하였다. -
31
1633년 정온(鄭蘊) 유지(有旨) / 1633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33년 1월 28일에 정온을 대사헌으로 제수한 ( 『인조실록』인조 11년 1월 28일(경신) 도목정사에 의하여 1월 30일에 승정원에서 인조의 명을 받아 정온에게 사헌부 대사헌으로 제수되었으니 역마를 타고 상경하라는 명을 전한 것이다. -
32
1635년 역천서원(嶧川書院) 심원록(審院錄) / 1635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35년에 건립된 역천서원은 임득번과 정유명을 제향하는 서원인데, 본서는 이 서원을 내방하여 분향한 사람들의 명단이다. -
33
-
34
1657년 정온(鄭蘊) 증시교지(贈諡敎旨) / 1657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57(효종 8)년 12월 7일에 효종이 정온에게 문간공이라는 시호를 내리는 문서이다. -
35
1684년 정중원(鄭重元) 외가추모첩(外家追慕帖) / 1684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84년 정중원이 편집한 선대 관련 기록으로 나위소의 글을 모은 것이다. -
36
-
37
1691년 역천서원(嶧川書院) 부성록(扶成錄) / 미상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석천 임득번선생을 역천서원으로 옮겨 봉안할 때에 각 향교 및 서원, 문중 등에서 받은 부조내역을 적은 문서이다. -
38
1694년 정온(鄭蘊) 처(妻) 윤씨(尹氏) 추증교지(追贈敎旨) / 1694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694(숙종 20)년 3월 25일에 숙종이 정온의 처 정부인 윤씨를 정경부인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
39
1707년 권이진(權以鎭) 황명조선문간공동계정선생유허비(皇明朝鮮文簡公桐溪鄭先生遺墟碑) / 1707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권이진이 1707년에 동계 정온선생을 배향한 모리재의 내력을 기록한 글이다. -
40
1790년 윤면흠(尹勉欽) 등 상서(上書) / 1790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790(정조 14)년 박원조가 암행어사에게 올린 문서로, 정희량의 난으로 인하여 몰수된 토지 가운데 잘못 적몰된 위토를 복급해 달라고 청원하였다. -
41
1792년(?) 계장(稧長) 조치영(趙致永), 임진원(林鎭源), 이원근(李源根) 등 첩정(牒呈) / 미상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임자년 12월 28일에 고현면 면동의 동계장 조치영등이 마을 소유의 토지를 팔기 위해 이 토지에 대한 공증서를 발급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
42
1796년 이만운(李萬運) 서간(書簡) / 1796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796년 이만운이 보낸 편지로 모리재가 제대로 보호되고 있지 않음을 탄식하며 앞으로 서로 노력하여 모리재의 중흥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하고 있다. -
43
1798년 고령(高靈) 후학(後學) 지현(知縣) 역양정공정려 중수기(嶧陽鄭公旌閭重修記) / 미상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역양 정유명선생의 효행을 포양하기 위해 1633년에 세운 정려문의 중수 사실을 기록한 글이다. -
44
-
45
-
46
-
47
1806년 모리재(某里齋) 화엽성조시통문서간(花葉成造時通文書簡) / 1806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1806년에 동계 정온선생을 모신 재와 루를 중수하기 위하여, 경상도유생에게 낸 통문에 대한 답통을 필사하여 장첩한 것이다. -
48
1807년 모리재(某里齋) 화엽루부성록(花葉樓扶成錄) / 미상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정묘년 2월에 모리재의 화엽루를 다시 세울 때에 각지의 문중, 서원, 서당, 향청, 향교 등의 곳에서 보내온 부조의 내역을 기록한 책자이다. -
49
-
50
1817~1852년 정세립(鄭世岦) 등 소지(所志) / 미상 / 23책 / 거창 강동 초계정씨 동계 종가
모리재의 유생 정세립등이 정온선생의 배향을 놓고 정씨 집안과 생긴 분쟁에 관련하여 안의현감에게 청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