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고문서
- 홈
-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총 1,921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1
1436~43년 권명리(權明利) 분급문기(分給文記) / 1436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36년에서 1443년사이 권명리(權明利)는 8자녀에게 종을 상속하면서 본 문서를 작성하였다. 이미 오래 전인 1414년에 1차 상속이 이루어졌는데, 그 이후에 처와 아들 한 명이 사망하였기 때문에 추가 상속이 있었던 것이다. 자식 없이 사망한 아들 한 명의 재산을 ... -
2
1453년 손소(孫昭) 백패(白牌) / 미상 / 127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
3
1467년 손소(孫昭)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 146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67년(세조 13)11월에 손소를 정충출기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손소는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허종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2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00결, 노비 10구 등의... -
4
1483년 손중돈(孫仲暾) 백패(白牌) / 1483 / 127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
5
1489년 손중돈(孫仲暾) 홍패(紅牌) / 1489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89년(성종 20)4월 10일에 손중돈이 문과 병과 10인으로 급제하였기 때문에 발급한 홍패이다. 문과나 무과 같은 대과에 합격시에는 그 합격 증서로 홍패를 내려주고, 진사 생원시 같은 소과의 경우에는 백패를 내려준다. 홍패와 백패에는 [과거지보(科擧之寶)]를 안보... -
6
1490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0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0년(성종 21)이조가 국왕의 명령을 받아 손중돈을 종사랑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우선 연월일 좌측에 '文科丙科例超'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고신의 발급사유를 적은 것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문과에 합격한 경우 등급에 따라 ... -
7
1490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0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0년(성종21)에 이조에서 성종의 명에 따라 손중돈(孫仲暾)을 종사랑 행 경주훈도(從仕郞 行 慶州訓導)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종사랑(從仕郞)은 조선시대 문신의 관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정9품에 해당한다. 본 문서와 같이 4품... -
8
1491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1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1년(성종22)2월에 이조에서 성종의 명령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중학훈도(中學訓導)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문서의 앞부분이 떨어져 나가 발급일자와 담당자 서명, 그리고 임명관직인 ▣학훈도(學訓導)기록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경주 양동 경주손씨가에 소장... -
9
1491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1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1년(성종22)4월 이조에서 국왕의 명령을 받아 손중돈을 종사랑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시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문서의 앞부분이 떨어져 나가 받은 이의 성명 및 이전 직함, 그리고 새로 임명된 관직의 정확한 이름을 알아 볼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본 자료... -
10
1491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1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1년(성종 22)이조가 국왕의 명령을 받아 손중돈을 종사랑 행 성균관학유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종사랑란 조선시대 문신의 관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정9품에 해당한다. 4품이하 고신을 교첩(敎牒)으로 부르기도 한다. 교첩에는 담... -
11
1492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2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2년(성종23) 이조에서 성종의 명에 따라 손중돈을 통사랑(通仕郞)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 겸 춘추관기시관(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조선시대에는 12월과 6월에 정기 인사행정이 있었다. 따라서 이해 7월에 발급된 본 문서는 6월에 있었던 인사행정의 결과... -
12
149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3년(성종24) 이조에서 성종의 명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무공랑(務功郞) 예문관봉교(藝文館奉敎) 겸(兼) 춘추관기시관(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문서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간 상태이나 다행히 관직을 받는 자의 성명과 새로 임명되는 관직은 알아볼 수... -
13
149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4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4년(성종25) 이조에서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선교랑(宣敎郞) 형조좌랑(刑曹佐郞)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문서의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알아 볼 수 없는 글자가 여러 자이다. 그러나 다행히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선교랑 형조좌랑으로 특별... -
14
149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4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4년(성종25) 이조에서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보존상태가 매우 좋지 못하여 새로 임명되는 관직과 작성연월일, 문서발급에 관여한 이조관리의 서명과 관인(官印)의 일부 만을 알아볼 수 있을 뿐이다... -
15
1495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5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5년(연산군1) 이조가 연산군(燕山君)의 명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선교랑(宣敎郞) 수(守)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문서의 앞부분과 상단이 떨어져 나가 일부 기록이 유실된 상태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관직체계를 통해 보이지 않은 부분도 ... -
16
149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6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6년(연산군2) 이조에서 연산군의 명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승훈랑(承訓郞) 수(守)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전 관직이 선교랑(宣敎郞) 수(守)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이므로, 관직은 변동없이 품계만 문관 종6품 상(上)인 선교랑에서 정6품... -
17
149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6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6년(연산군2) 이조에서 연산군의 명으로 승훈랑(承訓郞) 수(守)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손중돈(孫仲暾)을 승훈랑(承訓郞)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겸(兼) 중학교수(中學敎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승훈랑은 정6품 하계의 문관 품계명이다. 고위직인 4품이상은 왕이 직... -
18
149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6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6년(연산군2) 이조(吏曹)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명에 따라 손중돈(孫仲暾)을 사온서령(司醞署令)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훼손이 심하여 작성 연월일과 담당 관서의 결재자 서명 부분만이 남아있다. 그러나 남아있는 기록 만으로도 이조에서 5품이하 문신에게 내려준 임명장... -
19
1497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7년(연산군3) 이조에서 왕명에 따라 손중돈(孫仲暾)을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겸(兼) 종학전훈(宗學典訓)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문서의 훼손이 심하여 앞 부분이 떨어져 나갔지만, 연월일 기록 위에 찍힌 「이조지인(吏曹之印)」과 문서를 결재한 담당관원 기록을 통해 ... -
20
1497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7년(연산군3)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손중돈(孫仲暾)을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겸(兼) 종학전훈(宗學典訓)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문서의 훼손이 심하여 앞부분은 거의 떨어져 나가고 뒷부분만 남아 있다. 성균관의 정5품직인 직강(直講)은 정7품 박사(博... -
21
1497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7년(연산군3)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손중돈(孫仲暾)을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훼손이 심하여 현재 문서의 뒷부분만 남아 있다. 떨어져 나간 부분에는 문서의 발급관청, 왕명을 받든 날짜, 본 임명장을 받는 이의 이전 관직과 그의 성명,... -
22
1498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8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8년(연산군4)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손중돈(孫仲暾)을 통선랑(通善郞) 수(守) 양산군수(梁山郡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선랑은 정5품 하계의 품계명이고 군수은 정4품직이다. 품계에 비해 더 높은 관직에 임명되었으므로 그러한 경우를 뜻하는 '수(守)'자... -
23
1499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499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499년(연산군5)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손중돈(孫仲暾)을 통덕랑(通德郞) 수(守) 양산군수(梁山郡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덕랑은 조선시대 문신의 정5품 상계의 품계명이고 군수는 정4품 직이므로, 그 품계에 비해 임명된 관직이 높다. 이러한 경우에는 품계... -
24
1501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1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1년(연산군7)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조봉대부(朝奉大夫) 양산군수(梁山郡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양산군수에 임명된 것은 이보다 몇 해 전인 1497년의 일이다. 따라서 이 문서는 손중돈을 조선시대 문신의 종4품 하의 품계인 조봉대부로 올려주는 것이... -
25
1502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2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2년(연산군8)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조산대부(朝散大夫) 양산군수(梁山郡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늙은 어머니를 가까이에서 봉양하고자 지방의 수령직을 자청한 그를 고향 인근의 양산군수로 발령한 것은 이미 몇 해 전인 1497년의 일이다. 따라서 이 ... -
26
150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3년(연산군9)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렬대부(奉列大夫) 성균관(成均館) 사예(司藝)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전해까지 양산군수로 있던 손중돈은 새해부터 성균관 사예직을 맡게 되어 다시 중앙관직으로 복귀하였다. 사예는 정4품 관직으로 성균관유생들에게 음... -
27
150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3년(연산군9)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렬대부(奉列大夫) 장악원(掌樂院) 첨정(僉正)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바로 한 달 전에 성균관 사예로 임명되었으나 불과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이번에는 장악원으로 발령이 났다. 장악원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는 ... -
28
150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3년(연산군9)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렬대부(奉列大夫)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사헌부은 시정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언론기관이자 관리들의 비위를 규찰하는 감찰기관인 동시에 억울함을 풀어주는 사법기관이었다. 그런 까닭... -
29
150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3년(연산군9)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정대부(奉正大夫)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한 달여 전인 3월 25일에 사헌부 장령으로 자리를 옮기고 이번에는 봉정대부로 승진하여 이 고신을 받은 것이다. 봉정대부는 조선시대 정4품 상... -
30
150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3년(연산군9)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정대부(奉正大夫) 예빈시(禮賓寺) 부정(副正)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석 달여 전인 3월 25일에 사헌부 장령으로 자리를 옮기고 이번에 다시 예빈시 부정에 임명되었다. 예빈시는 외교사절을 위한 연회와 종실 및 고... -
31
1503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3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3년(연산군9)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정대부(奉正大夫) 사복시(司僕寺) 정(正)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두 달여 전인 7월에 예빈시 부정으로 자리를 옮겼던 손중돈은 이번에는 사복시의 실무책임자인 정을 맡게 되었다. 사복시는 조선시대에 수레, 말, 마... -
32
150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4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4년(연산군10)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정대부(奉正大夫) 김해도호부사(金海都護府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여러 해 동안 양산군수로 근무한 손중돈이 중앙관직으로 복귀한 것은 지난 해 초였다. 한 해 동안 여러 관직을 전전하던 손중돈은 1년 만에 다시... -
33
150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4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4년(연산군10)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중훈대부(中訓大夫) 김해도호부사(金海都護府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해 정월에 김해도호부사로 자리를 옮겼으므로, 이번에는 품계만 한 등급 올려주는 인사이다. 조선시대 정4품 상계에 해당하는 봉정대부(奉正大夫)... -
34
150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6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6년(중종1)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봉정대부(奉正大夫) 수(守)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9월 20일에 작성되었다. 이달 2일에는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보위에 올랐다. 신하들에 의해 임금이 교체되는 엄청난 정치적 사건... -
35
1506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6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6년(중종1)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중훈대부(中訓大夫) 수(守)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9월의 일로 날짜는 기록되지 않았다. 같은 달 20일에 작성된 또 다른 손중돈의 임명장에는 봉정대부(奉正大夫) 수 상주목사로 기록되었다. 봉정대... -
36
1507년 김예수(金禮守), 이수원(李守元) 초사(招辭)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김예수(金禮守)와 이수원(李守元)이 김산군(金山郡)에 올린 사실 확인서이다. 이 문서를 작성하기 바로 전날 이들은 고 습독관(習讀官)최세징(崔世澄)의 처 이씨(李氏)가 남편의 사촌여동생인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의 처 최씨(崔氏: 1483~... -
37
1507년 상주목사(尙州牧使) 손댁(孫宅) 호노(戶奴) 옥석(玉石) 소지(所志)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 상주목사(尙州牧使)손댁(孫宅)의 호노(戶奴) 옥석(玉石)이 김산군(金山郡)에 올린 공증 요청 민원서류이다. 호노는 상전을 대신해 집안대소사를 처리하던 남자종을 말한다. 다른 말로 가노(家奴)라고도 한다. 상주목사손은 손중돈(孫仲暾: 1463~1529... -
38
1507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중직대부(中直大夫) 수(守)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상주목사로 자리를 옮긴 것이 지난 해 9월의 일이므로, 이 문서는 종3품 하계의 중훈대부(中訓大夫)에서 같은 품 상계인 중직대부로 한 계단 승진... -
39
1507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통훈대부(通訓大夫)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상주목사로 자리를 옮긴 것이 지난 해 9월의 일이고, 그 후 올 윤 정월에는 종3품 상계인 중직대부로, 그리고 이번 8월에는 정3품 하계인 통훈대부로 승... -
40
1507년 손중돈(孫仲暾) 처(妻) 최씨(崔氏)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손중돈(孫仲暾: 1463~1529)의 처 최씨(崔氏)가 남자종 1명을 사들이고 작성한 거래계약서이다. 이 남자종의 원소유주는 최씨의 친정 사촌오빠인 습독관(習讀官)최세징(崔世澄)의 아내인 이씨(李氏)이다. 당시 최세징은 이미 사망한 후이므로 이 거래에... -
41
1507년 손중돈(孫仲暾) 처(妻) 최씨(崔氏) 입안(立案)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 김산군(金山郡)에서 손중돈(孫仲暾)의 처 최씨(崔氏)에게 내려준 공증 문서이다. 최씨는 이 문서가 발급되기 바로 전날, 친정의 사촌 오라버니인 고 습독관(習讀官)최세징(崔世澄)의 처 이씨로부터 남자종 1명을 사들였다. 그리고는 곧장 새로 산 종에 대... -
42
1507년 최세징(崔世澄) 처(妻) 이씨(李氏) 함답(緘答) / 1507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7년(중종2)고 습독관(習讀官)최세징(崔世澄)의 처 이씨(李氏)가 김산군(金山郡)에 올린 답변서이다. 내용인 즉은 바로 전날 있었던 노비거래가 사실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씨는 남편 최세징의 사촌여동생인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의 처 최씨(崔氏: 148... -
43
1509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9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9년(중종4)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통정대부(通政大夫) 행(行) 상주목사(尙州牧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차근차근 품계를 높혀 가던 손중돈은 이때에 드디어 당상인 정3품 상계 통정대부로 승진하였다. -
44
1509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9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9년(중종4)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行) 충좌위호군(忠佐衛護軍)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충좌위는 조선시대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는 오위(五衛)가운데 하나로 전위(前衛)에 해당한다. 공신자제나 고관의 자제를 우대하는 특별부대가 여... -
45
1509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09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09년(중종4)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승정원(承政院) 우승지(右承旨)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승정원은 왕의 비서기관으로 6명의 승지가 각각 이․호․예․병․형․공방의 일을 나누어 맡았다. 이 가운데 우승지는 예방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예방승지라고도 불리웠다... -
46
1510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10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10년(중종5)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승정원은 왕의 비서기관으로 6명의 승지가 각각 이․호․예․병․형․공방의 일을 나누어 맡았다. 이 가운데 좌승지는 호방을 담당하였다. 왕과 학문적 토론을 하는 경... -
47
1510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10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10년(중종5)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중추부는 특정한 담당업무가 없는 부서로 당상관(堂上官) 이상의 고위관료 가운데 실질적인 소임이 없는 자들을 소속시켜 우대하는 기관이었다. 불과 열흘 전에 승정원(承政... -
48
1510년 손중돈(孫仲暾) 동생(同生) 화회문기(和會文記) / 1510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10년(중종5)손소(孫昭: 1433~1484)의 자녀 7남매가 부모 사후에 그 재산을 합의 분할한 문서이다. 그 해 음력 8월 14일에 손소의 처 유씨(柳氏)가 사망하였다. 이로부터 석 달이 지난 11월 18일, 그 자녀 7남매가 함께 모여 부모님이 남긴 재산을 골... -
49
1511년 이문산(李文山)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1511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11년(중종6)이문산(李文山)이 배수신(裵守信)으로부터 논을 사는 거래의 계약서이다. 해당 논은 14부(負)의 면적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이 논에서 수확할 수 있는 벼의 양이 14부라는 말이다. 해당 전답의 면적을 수확량 기준으로 파악하고 이를 조세수취와 연결시키... -
50
1512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 1512 / 32책 / 경주 양동 경주손씨 송첨 종가
1512년(중종7)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2년 전 좌승지로 발령난지 열흘 만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옮겨졌다가, 이번에 다시 승정원으로 복귀한 것이다. 중추부는 특정한 담당업무가 없는 부서로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