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고문서
- 홈
 -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총 1,008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1
1537년 최언수(崔彦粹) 문과 홍패(文科紅牌) / 1537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37년(중종32)최언수(崔彦粹:1500〜51)가 문과에 급제하여 받은 합격증서이다. 붉은 종이를 쓰기 때문에 홍패(紅牌)라고 한다. 병과(丙科) 제4인의 등위로 합격하였다. 3년마다 시행되는 정시 시험인 식년시(式年試)가 있고, 그 외 특별히 설행되는 시험이 있었는... - 
			
2
1572년 최영(崔穎) 고신(告身) / 1572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72년(선조5)최영(崔穎:1521〜84)을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임명한 문서이다. 어모장군은 무신 정(正) 3품(品) 당하관(堂下官)의 품계명이다. 그 사유에 대해서는 작성연월일 기록 오른쪽에 “壬二別加”라고 작게 기록되어 있다. 당해가 임신(壬申)년이니 이 해 2... - 
			
3
1576년 최상중(崔尙重) 진사 백패(進士白牌) / 1576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76년(선조9)최상중(崔尙重:1551〜1604)이 진사시에 입격(入格)하여 받은 합격증서이다. 생원․진사시의 합격증은 이와 같이 희고 두터운 종이를 쓰기 때문에 백패(白牌)라고 불렀다. 문과나 무과 합격증은 붉은 종이를 쓰므로 홍패(紅牌)라고 한다. 병과(丙科) 제... - 
			
4
1589년 최상중(崔尙重) 문과 홍패(文科紅牌) / 1589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89년(선조22)최상중(崔尙重:1551〜1604)이 문과에 합격하여 받은 증서이다. 붉은 종이를 쓰므로 홍패(紅牌)라고 한다. 병과(丙科) 제21인의 성적이다. 문과는 최종적으로 33인을 선발하되, 그 합격자를 성적순으로 갑과(甲科) 3인, 을과(乙科) 7인, 병과... - 
			
5
1590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 / 1590 / 75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0년(선조23)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을 무공랑에 봉한 임명장이다. 지난해 문과에 급제하여 일종의 견습 관원인 권지교서관부정자(權知校書館副正字)로 있었던 그는 한 해만에 정(正) 7품에 올랐다. 그의 아버지 최영(崔穎:1521〜84)이 ... - 
			
6
1594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1 / 1594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4년(선조27)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을 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겸(兼)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에 임명한 문서이다. 5년 전 문과에 급제하여 견습 관원인 권지교서관부정자(權知校書館副正字)로 대기하였던 그는 마침내 이 해 실직... - 
			
7
1594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2 / 1594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4년(선조27)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을 성균관(成均館) 전적(典籍)에 임명한 문서이다. 성균관의 전적(典籍)은 정(正) 6품 직이다. 이 해 정월 예문관(藝文館)의 가장 말단 관원인 정9품 검열(檢閱)로 첫 실직(實職) 발령을 받은 후... - 
			
8
1596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 / 1596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6년(선조29)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을 부여(夫餘) 현감(縣監)에 임명한 문서이다. 현감은 조선시대 가장 말단 지방행정구역인 현의 수령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사또, 원님인 것이다. 1589년문과에 급제(及第)한 후 약 4년 반 가량을... - 
			
9
1597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1 / 1597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7년(선조30)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에게 발급한 임명장이다. 지난 선조 27년(1594)12월 21일에 내려진 왕명을 받들어 예문관(藝文館) 봉교(奉敎)에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왕명이 내려진 후 만 2년 뒤에야 문서가 발급된 것이므로 ... - 
			
10
1597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2 / 1597 / 75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7년(선조30)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에게 발급한 임명장이다. 지난 선조 27년(1594)12월 초9일에 내려진 왕명을 받들어 예문관(藝文館) 대교(待敎)에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왕명이 내려진 시기에 비해 문서의 발급일이 너무 늦다. 그... - 
			
11
1599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 / 1599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599년(선조32)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에게 발급한 임명장이다. 같은 달인 3월 초4일에 내려진 왕명을 받들어 강원도 도사(都事)에 임명하였다. 도사는 중앙의 몇몇 관서에 설치되어 제반 서무를 주관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혹은 지방에 파견하... - 
			
12
1600년 최상중(崔尙重) 고신(告身) / 1600 / 72책 / 남원·구례 삭녕최씨
				
				
					
					
						
					
				
				
1600년(선조33) 이조(吏曹)에서 최상중(崔尙重:1551〜1604)에게 발급한 임명장이다. 같은 달인 6월 14일에 내려진 왕명을 받들어 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에 임명하였다. 사간원은 왕의 언행이나 조정의 정치적 결정과 논의 과정에 잘못이 있다면 이를 아뢰어 ...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