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고문서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 소장 고문서
더보기
1,233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1

    1584년 퇴계선생필첩(가칭)(退溪先生筆帖(假稱)) / 1584 /  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 2

    1589년 묘문(墓文) / 1589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 3

    1589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89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89년(선조22) 무공랑(務功郞)행(行) 홍문관(弘文館) 정자(正字)겸(兼) 경연전경(經筵典經)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선교랑(宣敎郞)행 홍문관 정자겸 경연전경 춘추관 기사관에 임명한 문서이다. 맡은 관직은 변화가 없고 ...
  • 4

    1594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4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4년(선조27)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선교랑(宣敎郞)수(守) 예조(禮曹) 좌랑(佐郞)에 임명한 문서이다. 문관(文官)이므로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발급하였다. 품계(品階)는 종(從) 6품 상계(上階)인 선교랑으로 변화가 없고, 새로 예조의 좌...
  • 5

    1594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4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4년(선조27)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선교랑(宣敎郞)수(守)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 지제교(知製敎)겸(兼) 경연(經筵)검토관(檢討官)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에 임명한 문서이다. 문관(文官)이므로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발급하였다...
  • 6

    1594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4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4년(선조27)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에 임명한 문서이다. 관원의 등급을 나타내는 품계(品階)는 올라가지 않아 여전히 종(從) 6품 상계(上階)인 선교랑이다. 왕의 언행이나 정치 일반의 잘못을 왕에게 건의하는 사간원의 정언...
  • 7

    1594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4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4년(선조27)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에 다시 임명한 문서이다. 그는 지난 9월에 이미 이 직에 보임되었으나, 10월 초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으로 옮겨졌다가 이번에 다시 돌아온 것이다. 그 사이 관원의 등급을 나타내...
  • 8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정(正) 6품 상계(上階)인 승의랑(承議郞)으로 승진시킨 임명장이다. 조선시대에도 관료들의 등급체계가 있어 정해진 근무일수를 채우면 차례차례 올라가게끔 되어 있었다. 그러나 등급에 따라 일수의 차이가 있어 정 7...
  • 9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로 하여금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사서(司書)를 겸임케 한 임명장이다. 불과 며칠 전 정(正) 6품 상계(上階)인 승의랑(承議郞)으로 승진시킨 후 이어진 겸직 명령이다. 그에 대한 선조(재위 1568~1608)의 ...
  • 10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성균관(成均館)의 전적(典籍)및 지제교(知製敎)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 정월에 정(正) 6품 상계(上階)인 승의랑(承議郞)으로 승진한 후 곧 이어 내려진 겸직 명령으로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 지제교겸(兼)...
  • 11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성균관(成均館)의 직강(直講)에 임명한 문서이다. 같은 관서(官署) 내 정(正) 6품직인 전적(典籍)에서 종(從) 5품직으로 승진한 것이다. 지제교(知製敎)는 이전부터 계속 맡고 있던 소임이다.
  • 12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 지제교(知製敎)겸(兼) 경연(經筵) 검토관(檢討官)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불과 이틀 전에 성균관(成均館)의 직강(直講)으로 자리를 옮기라는 왕명이 내려...
  • 13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로 하여금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문학(文學)을 겸직하도록 한 임명장이다. 같은 달 초에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 지제교(知製敎)겸(兼) 경연(經筵) 검토관(檢討官)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직으로 복귀한...
  • 14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5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5년(선조28)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로 임명한 문서이다. 정(正) 6품(品) 수찬(修撰)에서 정 5품 교리로 승진시킨 것이 주 내용이다. 홍문관관원들은 본래 소임인 궐내 도서의 관장하며 국왕의 자문에 대비하는 일뿐만 아...
  • 15

    1596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6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6년(선조29)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이조(吏曹)의 좌랑(佐郞)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좌랑은 육조(六曹)의 정(正) 6품(品) 직에 불과하지만, 이조와 병조의 정랑(正郞)과 좌랑은 인사행정을 담당했기 때문에 문과(文科) 출신자만 임명되는 매우 중요한...
  • 16

    1596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6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6년(선조29)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로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 해 8월에 같은 관서 내에서 정(正) 6품(品) 수찬(修撰)에서 정 5품 교리로 승진한 후 올 2월에 잠시 이조(吏曹)의 좌랑(佐郞)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이...
  • 17

    1596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6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6년(선조29)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이조(吏曹)의 정랑(正郞)에 임명한 문서이다. 홍문관(弘文館)의 정(正) 5품(品) 직인 교리(校理)에서 같은 등급의 정랑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직책은 그 아래인 정 6품 좌랑(佐郞)과 함께 인사행정을 담당하였...
  • 18

    1596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6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6년(선조29)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교서관(校書館) 교리(校理)에 겸임시킨 임명문서이다. 교서관은 유교 경전과 역사서의 간행과 제사 때 쓰이는 축문을 짓고 쓰는 일, 그리고 제사용 향과 도장 등을 관할하던 부서이다. 교리은 집현전(集賢殿), 홍문관...
  • 19

    1596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6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6년(선조29)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봉훈랑(奉訓郞)으로 승진시킨 문서이다. 정(正) 6품(品) 상계(上階) 승의랑(承議郞)에서 종(從) 5품 하계(下階)로 한 등급 오른 것은 같은 달인 7월에 내려진 “별가(別加)” 때문이었다. 이는 특별한 일로 ...
  • 20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봉직랑(奉直郞)으로 승진시킨 문서이다. 종(從) 5품 하계(下階) 봉훈랑(奉訓郞)에서 같은 품내 상계(上階)에 올랐다. 이는 근무일수를 채운 데 따른 관례적 승진이었다. 조선시대에도 관직자들의 근무연한이 오래되면...
  • 21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통덕랑(通德郞)으로 승진시킨 문서이다. 종(從) 5품 상계(上階) 봉직랑(奉直郞)에서 정(正) 5품 상계로 한꺼번에 두 등급이 오른 승진이다. 왕이 친히 종묘(宗廟)에 제사를 올릴 때 제관(祭官)을 담당한 공으로...
  • 22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의정부(議政府) 사인(舍人)에 임명한 문서이다. 이조(吏曹)의 인사행정 담당관인 정(正) 5품(品) 정랑(正郞)에서 정 4품 사인으로 자리를 옮겼으니 실질적으로는 승진이라 할 수 있다. 그의 품계는 정5품 상계(...
  • 23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에 임명한 문서이다. 홍문관은 궁궐내 서적 관리와 글 짓는 일의 처리,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이다. 본 업무 외에도 왕에게 유학 경전의 강론하는 경연관(經筵官), ...
  • 24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의정부(議政府) 사인(舍人)에 임명한 문서이다. 약 한 달 전 쯤 이조(吏曹)의 인사담당 관원인 전랑(前廊)에서 의정부 사인으로, 며칠 전에는 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로 다시 발령을 내었다가 다시 이번에 사인...
  • 25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사헌부(司憲府)의 장령(掌令)에 임명한 문서이다. 얼마 전 의정부(議政府) 사인(舍人)에 임명되었다가, 곧 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로 옮겨졌다가 다시 사인으로 복귀시키더니 이번에는 장령에 임명되었다. 사헌부는...
  • 26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로 하여금 춘추관(春秋館) 편수관(編修官)을 겸직시킨 임명장이다. 며칠 전인 8월 23일에 사헌부(司憲府)의 장령(掌令)에 임명된 후 바로 곧이어 겸직을 명받은 문서이다. 본 겸직의 명이 8월 25일에 내려졌으므로 ...
  • 27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성균관(成均館) 사예(司藝)에 임명한 문서이다. 채 한 달도 못되어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에서 이 직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그 밖에 겸직으로 임명된 지제교(知製敎),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필선(弼善),...
  • 28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홍문관(弘文館) 부교리(副校理)에 임명한 문서이다. 3일 전인 9월 14일에 성균관(成均館) 사예(司藝)에 제수되었다가 곧장 홍문관으로 옮겨진 것이다. 정경세는 이미 여러 차례 홍문관의 관원으로 재직한 적이 있었...
  • 29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조산대부(朝散大夫)수(守) 사간원(司諫院) 사간(司諫) 지제교(知製敎)겸(兼) 승문원(承文院) 참교(參校) 교서관(校書館) 교리(校理)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필선(弼善)에...
  • 30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춘추관(春秋館) 편수관(編修官)에 겸직 임명한 문서이다. 그는 이미 지난달인 11월 28일에 종(從) 4품(品) 상계(上階)인 조산대부(朝散大夫)에 오르고, 사간원(司諫院)...
  • 31

    1597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 달 11월 28일에 종(從) 4품(品) 상계(上階) 조산대부(朝散大夫)에 오른 후 불과 한 ...
  • 32

    1597년 정경세(鄭經世) 처(妻) 고신(告身) / 1597 /  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 33

    1597년 정경세(鄭經世) 처(妻) 이씨(李氏) 고신(告身) / 1597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7년(선조30)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처 이씨를 숙부인(淑夫人)에 봉한 문서이다. 정경세는 며칠 전인 12월 22일에 정(正) 3품 당상관(堂上官)인 통정대부에 올랐다. 당상관의 처에게는 남편...
  • 34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 해 12월 22일에 승정원(承政院)의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임명한 후 한 달도 못되어 우부승지로...
  • 35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달인 정월 17일에 동부승지(同副承旨)에서 우부승지(右副承旨)로 자리를 옮긴 후 다시 한 달도...
  • 36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승정원(承政院) 우부승지(右副承旨)로 복귀시킨 임명장이다. 이틀 전인 2월 초4일에 우부승지에서 좌부승지(左副承旨)로 전보시켰다가 초6일에는 복귀를 명하였다. 지난해 12월...
  • 37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승정원(承政院)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재임명한 문서이다. 나흘 전인 2월 초4일에 우부승지(右副承旨)에서 좌부승지로 전보시켰다가, 초6일에 원상복귀를 명하고는, 다시 이틀 ...
  • 38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승정원(承政院) 우승지(右承旨)에 임명한 문서이다. 이달 초 며칠 사이에 우부승지(右副承旨)와 좌부승지(左副承旨)사이를 왔다 갔다 했던 정경세는 본 임명장을 통해 그보다 승...
  • 39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승정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제수된 후, 올해 정월에 우부승지(右副承旨), 2월에 좌부승지(左副承...
  • 40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통정대부(通政大夫)수(守)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에 임명한 문서이다. 그의 첫 외직이다. 선조의 신임을 단단히 받던 정경세는 줄곧 중앙 조정에서 관직생활을 하였다. 물론...
  • 41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수(守) 경상도(慶尙道)겸(兼) 병마수군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에 임명한 문서이다. 같은 날 통정대부(通政大夫)수(守) 경상도 관찰사(觀察使)에 임명하는 문서와 함께 받은 임...
  • 42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절충장군(折衝將軍)행(行) 의흥위(義興衛) 호군(護軍)에 임명한 문서이다. 당해 봄 경상도 관찰사(觀察使)에 제수된 후 정경세는 지난 11월 거듭 사직을 청하는 상소(上疏)...
  • 43

    1598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통정대부(通政大夫)행(行) 청송도호부사(靑松都護府使)에 임명한 문서이다. 당해 봄 경상도 관찰사(觀察使)에 제수된 후 정경세는 지난 11월 거듭 사직을 청하는 상소(上疏)를...
  • 44

    1598년 정경세(鄭經世) 비(妣) 합천이씨(陜川李氏) 추증교지(追贈敎旨)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어머니 이씨(李氏)를 정부인(貞夫人)에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추증’은 죽은 사람의 관작(官爵)을 사후에 올려주는 것을 일컫는 말로 생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제도이다....
  • 45

    1598년 정경세(鄭經世) 조비(祖妣) 현풍곽씨(玄風郭氏) 추증교지(追贈敎旨)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할머니 현풍곽씨(玄風郭氏)를 숙부인(淑夫人)에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추증’은 죽은 사람의 관작(官爵)을 사후에 올려줌으로써 생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제도이다. 또한 ...
  • 46

    1598년 정경세(鄭經世) 처 전의이씨(全義李氏) 추증교지(追贈敎旨)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사망한 전처 이씨(李氏)를 정부인(貞夫人)에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추증은 죽은 사람의 관작(官爵)을 사후에 올려주는 것을 일컫는 말로 생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제도이다...
  • 47

    1598년 정계함(鄭繼咸) 추증교지(追贈敎旨)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증조부 정계함(鄭繼咸)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통례원(通禮院) 좌통례(左通禮)에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추증’은 죽은 사람의 관작(官爵)을 사후에 올려줌으로써 생전의 공적...
  • 48

    1598년 정은성(鄭銀成) 추증교지(追贈敎旨) / 1598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8년(선조31)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돌아가신 할아버지 정은성(鄭銀成)을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에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추증’은 죽은 사람의 관작(官爵...
  • 49

    1599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9 /  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9년 선조가 정경세를 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知製敎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으로 임명하는 교지.
  • 50

    1599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 1599 / 88책 / 상주 우산 진주정씨 우복 종가
    1599년(선조32)선조(宣祖: 재위 1568~1608)가 정경세(鄭經世: 1563~1633)를 절충장군(折衝將軍)행(行) 충무위(忠武衛) 부호군(副護軍)에 임명한 문서이다. 지난 가을 조정에서 그를 성토하는 여론이 조성되자 정경세는 당해 봄에 제수되었던 경상도 관찰사...
ㆍ페이지 이동: / 25 go
1 2 3 4 5 6 7 8 9 10 > >>